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유망직업 분석

이용수 23

영문명
Analysis on Fast-Growing Occupations for Female Job Creation on the Basis of Japanese Cases
발행기관
한국동북아경제학회
저자명
이상돈(Sang-Don Lee) 권태희(Tae-Hee Kwon) 홍광표(Kwang-Pyo Hong)
간행물 정보
『동북아경제연구』東北亞經濟硏究 第26卷 第4號, 91~11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창의적 인재가 성장의 주요요인으로 작용하는 창조경제(Creative Economy)하에서는 과거 어느 때보다도 인적자원의 경쟁력이 중요하며, 인적자원의 경쟁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는 성별에 관계없이 가용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하고 적극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더욱이 여성의 경제활동참가 욕구가 계속 높아지고 있고, 인적자본투자를 통한 노동력의 질적 제고가 빠르게 지속되고 있다. 그동안 경제⋅사회발전 과정 속에서 노동공급원으로서 여성인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크게 높아져 왔으며, 앞으로 노동시장 내에서의 여성인력의 입지는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그러나, 여성 고학력화로 인해 여성의 노동시장 진출 가능성은 높아지고 있으나 여성이 출산과 육아 등으로 노동시장을 이탈하는 노동공급의 단속성은 지속되고 있다. 고학력 여성의 경우 이러한 공급의 단속성이 더욱 심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향후 여성인력의 고학력화 현상이 여성인력 활용에 있어서 긍정적 영향만을 미칠 것으로 낙관할 수 없다. 최근 정부차원의 여성고용활성화를 위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창출사업에 대한 관심이 지대하다. 이에 수반되어 고학력 경력단절여성들이 주요 정책대상자로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래사회에 예측되는 직업별 여성고용전망결과를 토대로 고학력 여성들이 노동시장에 진출하기에 가능성이 높은 유망 직업을 도출하였다. 고용전망방법은 지수평활법에 의한 정량적인 전망기법(고용증가율, 고용규모)과 정성적 요인으로서 근무여건과 고용평등 요인을 반영한 두 가지 방법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고학력 여성 유망 직업 도출의 한계를 최대한 극복하고자 하였다. 전문대졸이상 고학력 여성들을 위한 유망직업을 도출한 결과, 147개 소분류 직업 중에서 학교 교사, 치료사 및 의료기사, 사회복지관련 종사자, 유치원 교사 등 7개 직업이 선정되었다. 향후 고학력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유망직업 정보에 대한 전망결과는 정부의 새로운 일자리 발굴 및 맞춤형 직업훈련 콘텐츠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e Creative Economy era, when creative human capital plays a pivotal role in economic growth, competitiveness of human capital is regarded more important than in any past decades. In order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human capital, an efficient development and active utilization of available human capital, regardless of gender, should be in place. Also ever increasing are a female desire to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y and the value of their labor through continuous investment in human capital. As female workforce has much contributed to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it will remain on a strong footing in the job market. However, while the possibility of female labor participation is ever increasing thanks to higher education, the female job displacement remains due to child bearing and rearing. As labor force discontinuity appears stronger in highly educated women, higher education cannot be expected to have positive consequences only in utilization of female workforce. Lately, the Korean government has paid much attention to flexible part-time job creation for female labor. As a result, highly-educated women desiring to re-enter the labor force are getting an increasing attention as a major policy beneficiary group. This study tried to point out promising occupations for highly educated wome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women employment projection by occupation. Quantitative forecasts including employment size and growth rates using exponential smoothing and qualitative factors such as working conditions and equal employment are used to overcome projection limitations. Among 147 minor occupation groups, the study resulted in 7 occupations suitable for female with associate degree, which include school teacher, therapist & medical technician and social welfare worker. The projection outcome is expected to provide an important insight for the government s efforts for job creation and development of customized job training contents.

목차

Ⅰ. 서 론
Ⅱ. 유망직업의 정의와 선행연구
Ⅲ. 일본 여성노동시장 특성과 유망직업
Ⅳ. 여성 유망직업 분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상돈(Sang-Don Lee), 권태희(Tae-Hee Kwon), 홍광표(Kwang-Pyo Hong). (2014).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유망직업 분석. 동북아경제연구, 26 (4), 91-116

MLA

이상돈(Sang-Don Lee), 권태희(Tae-Hee Kwon), 홍광표(Kwang-Pyo Hong). "여성 일자리 창출을 위한 유망직업 분석." 동북아경제연구, 26.4(2014): 91-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