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전주시 빈집 핫스팟 지역 특성 분석

이용수 179

영문명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 Hotspot Areas in Jeonju
발행기관
한국주택학회
저자명
박의준(Eui-Jun Park) 임미화(Mi-Hwa Lim)
간행물 정보
『주택연구』住宅硏究 第28卷 第2號, 131~15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 2018년 기준 빈집은 142만호로 2015년 106만9,000호 대비 32%나 증가했으며, 이는 전체 주택 수의 12.4%에 달한다. 가파른 속도로 증가하는 빈집은 범죄, 지역 이미지 저하, 위생 등 여러 도시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전주시를 중심으로, 공간적으로 빈집이 집중되는 핫스팟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여 빈집의 발생 및 고착화를 예방하기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첫 번째로, 빈집 핫스팟 지역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잠재적인 문화재의 보존을 위한 토지이용의 규제는 건축 활동을 위축시켜 주택을 방치할 수밖에 없도록 만드는 요인인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소외지역으로서 실질적인 주택의 물리적 변화 부재도 빈집을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인 것으로 여겨진다. 두 번째로 핫스팟분석을 통해 빈집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확인한 결과, 교동, 남노송동, 서노송동, 중노송동, 동서학동, 동완산동, 서서학동, 인후동1가, 팔복동2가, 효자동1가와 같은 낙후지역 및 소외지역이 핫스팟 지역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 빈집의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전역적 모란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0.8로 양의 공간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낙후된 지역에 빈집이 밀집한 바와 같이 자기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마지막으로, 빈집과 주택가격, 주거급여수급권자, 노인인구비율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함과 동시에 t검정 분석을 통해 핫스팟 지역과 콜드스팟 지역에 차이가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빈집과 주택가격은 –0.54, 주거급여수급권자는 +0.23, 노인인구비율은 +0.7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In 2018, the number of vacant houses in South Korea was 1.42 million. This was 12.4% of the total, which showed an increase of 32% from the 106.9 million recorded in 2015. This remarkably rapid increase is causing a variety of problems for South Korea’s society, such as increased crime rate and less hygienic and aesthetically-pleasing urban landscap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ome areas in the city of Jeonju, in which the number of vacant houses was particularly concentrated, and suggest measures that might be taken to remedy the situation.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cant house hotspot areas have been identified. It is expected that the regulation of land use for the preservation of potential cultural properties will become a factor that will constrain construction activities and leave homes unattended. The lack of physical change in housing as a marginalized area is also considered to be a major factor in generating vacant houses. Second, a hotspot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patial distribution pattern of these vacant houses. The result showed that such hotspots were a large number of underdeveloped and underprivileged areas in Jeonju. From there, I proceeded to calculate the Global Moran’s Index of the city. This allowed me to identify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all vacant houses. The results showed a spatial correlation of 0.8%, thereby confirming that autocorrelation exists, since all of the vacant houses were concentrated in these underdeveloped and underprivileged areas. Finally,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mong the vacant house and the house price, the housing benefit recipients, and the elderly population ratio. At the same time, t-test analysis was performed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the hotspot area and the coldspot area. The result of the analysis showed -0.54, +0.23, and +0.7 for the vacant house and house prices, housing benefit recipients, and elderly population ratio, respectively.

목차

I. 서론
II.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III. 실증분석
I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의준(Eui-Jun Park), 임미화(Mi-Hwa Lim). (2020).전주시 빈집 핫스팟 지역 특성 분석. 주택연구, 28 (2), 131-150

MLA

박의준(Eui-Jun Park), 임미화(Mi-Hwa Lim). "전주시 빈집 핫스팟 지역 특성 분석." 주택연구, 28.2(2020): 131-1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