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고슬라비아 체제전환 배경과 기원 연구

이용수 202

영문명
A Study on the Background and Origin of Yugoslavia’s System Transition: On the Basis of the Collapse of ‘Titoism’ and the Revival of ‘Cultural Nationalism’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저자명
김철민(Chul-Min Kim)
간행물 정보
『동유럽발칸연구』동유럽발칸연구 제44권 2호, 105~13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유고연방의 체제전환 배경과 그 기원을 이해하는 데 있어 1980년 티토의 사망은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다. 티토의 사망은 곧 유고연방 유지의 구심체였던 ‘티토이즘’의 소멸과 함께, 연방 붕괴를 촉진한 ‘문화적 민족주 의’ 부활로 이어졌기 때문이다. 티토는 1948년 소련과의 코민포름 분쟁 경 험을 통해 ‘티토이즘’의 3대 축을 구축했다. 즉 외교정책으로서의 ‘비동맹 주의’, 사회, 경제정책으로서의 ‘자주관리제도’ 그리고 민족정책으로서의 정 치적 민족주의인 ‘유고슬라비즘’을 바탕으로 유고연방을 유지해 왔었다. 본 연구에선 유고연방 사례를 중심으로 동유럽 체제전환 배경과 기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선 티토 사망 이후 전개된 티토 재평가 확산과 경제위기가 어떤 결과를 가져왔는지?, ‘티토이즘’의 축들이 어떻 게 붕괴하였는지? 그리고 사회주의 이념 아래 잠재됐던 ‘문화적 민족주의’ 가 어떻게 부활해 연방 붕괴와 체제전환을 불러왔는지? 에 대해 연구하고 자 한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understand the background and origins of the System Transition to the Socialist Federal Republic of Yugoslavia(SFRY), the death of Tito in 1980 was an important factor. The death of Tito soon led to the disappearance of ‘Titoism’, the center of the Yugoslavia, and the revival of ‘Cultural Nationalism (Serbianism ...)’ that promoted the collapse of the SFRY. In 1948, Tito built the three pillars of ‘Titoism’ through experience in the ‘Comminform Conflict’ with the Soviet Union. In other words, the SFRY has been maintained on the basis of ‘Non-Aligned Movement’ as a Foreign policy, “Self-Management System” as a Social and Economic policy, and ‘Yugoslavism’, a Political nationalism as a National policy.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origin of the System Transition in the Eastern European regime, focusing on the case of the SFRY. In particular, in this study, what was the result of the spread of the Tito re-evaluation and economic crisis?, and how did the axes of ‘Titoism’ collapse? And I am going to study how did ‘Cultural Nationalism’, which was latent under the socialist ideology, resurrected, causing the collapse of the SFRY and the System Transi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비동맹주의와 자주관리제도, 의미와 쇠퇴
3. 1980년대 경제위기와 티토이즘 붕괴
4. 티토 재평가 확산과 유고슬라비즘의 약화
5. ‘문화적 민족주의’ 부활의 시발, 코소보 갈등
6. 맺는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철민(Chul-Min Kim). (2020).유고슬라비아 체제전환 배경과 기원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44 (2), 105-135

MLA

김철민(Chul-Min Kim). "유고슬라비아 체제전환 배경과 기원 연구." 동유럽발칸연구, 44.2(2020): 105-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