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근대 시기 외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신지식의 수용과 재생산

이용수 29

영문명
Acceptance and Reproduction of New Knowledge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Books in The 1900s - Focusing on Song Heon-seok s writing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주현희(Ju Hyeonhee) 채영희(Chae Younghee)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인문사회과학연구 제21권 제2호, 211~24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5.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사회는 1876년 개항 이후 밀려오는 서양의 신문물과 신지식을 수용하고 전통적 가치관에서 탈피하여 근대적 사고방식을 형성해 나갔다. 개항 이전에는 주로 중국의 지식을 수용하거나 중국을 통해 서양의 서적과 신문물을 받아들여 이를 모방하거나 변용 하면서 점차 근대 지식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이후 점차 중국, 일본에 의존한 지식의 수용에서 벗어나 외국어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여 외국어 서적을 번역하고 여러 국가로 유학생을 파견하여 신지식과 신문물을 직접 수입하고자 하였다. 한편 근대 이전에는 중국을 중심의 세계관 속에서 그 외의 국가들은 양이, 오랑캐 등 으로 치부해왔으나 1876년 개항 이후 서양 세계의 근대 문물을 접함으로써 조선 사회의 세계관에 변화가 일어났다. 한국인들에게 인식 속에 내재되어 있던 세계 지도는 근대 지식과 신문물을 통해 재구조화 과정을 거쳐 새롭게 그려졌으며 동아시아를 중심으로 인식했던 세계는 서구 유럽으로까지 확장되어 나갔다. 이러한 확장된 근대의 시공간 속에서 다양한 문물과 개념이 형성되었으며 이를 나타낼 새로운 언어가 필요하게 되었다. 또 한 다양한 신문물의 소비와 유통은 새로운 지식구조의 형성뿐만 아니라 직업 세계의 확장도 초래하였다. 한국은 농경사회에서 벗어나 신문물을 제조하는 산업사회로, 그리고 이를 소비하는 물질문명세계로 전환하게 되었다. 한편 새로 접하게 된 문물과 신세계에 대한 명명이 필요했으며 이에서 파생한 다양한 관념들에 대한 명명 또한 급속도로 이루 어졌다. 그리고 이를 위해 많은 새로운 단어들이 만들어졌으며 이는 다시 근대 언어 교육과 지식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송헌석(1880?-1965?)은 이러한 근대 시기 다양한 저술 활동을 통해서 근대 시기의 신 지식의 도입과 재생산에 기여한 신지식인의 한 사람이었다. 그가 저술한 외국어 학습서를 통해 근대 시기의 새로운 어휘와 개념의 수용 및 재생산 양상을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Since the opening of the port in 1876, the Joseon society has adopted Western newspapers and new knowledge, breaking away from traditional values and forming a modern way of thinking. Prior to the opening of the port, he gradually developed into modern knowledge, either by accepting Chinese knowledge or by accepting Western books and newspapers through China.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gradually sought to cultivate talented people with foreign language skills, gradually breaking away from the acceptance of knowledge dependent upon China and Japan, to translate foreign language books and send students to various countries to import new knowledge and new culture materials. Meanwhile, the Korean society, which used to treat neighboring countries such as Japan and China as the exclusion of foreigners and barbarian before modern times, has changed its outlook on the world since its opening in 1876. The world map, which was embedded in Koreans perceptions, was newly drawn through the restructuring process through modern knowledge and new culture, and the world, which was recognized around East Asia, expanded to Western Europe. Within this extended modern space of time, various cultures and concepts were formed and a new language was needed to represent them. In addition, the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of various new culture resulted in the formation of new knowledge structures as well as the expansion of the professional world. Korea has moved away from the agrarian society to an industrial society that manufactures new culture and to a material civilization that consumes them. The new culture and the need for a name for the new world were needed, and the naming of the various concepts derived from it was also rapid. And many new words were created to do this, which in turn affected the formation of modern language education and knowledge structure. Song Heon-seok (1880?-1965?) was one of the new intellectuals who contributed to the int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new knowledge in modern times through various writing activities during these modern times. Through the foreign language study book he wrote, we looked at the introduction of new vocabulary and the acceptance and reproduction of concept in the modern era.

목차

Ⅰ. 근대의 의미 : 시간, 공간, 지식
Ⅱ. 송헌석의 생애 및 저술
Ⅲ. 시공간의 확장과 어휘와 개념의 생성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현희(Ju Hyeonhee),채영희(Chae Younghee). (2020).근대 시기 외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신지식의 수용과 재생산. 인문사회과학연구, 21 (2), 211-246

MLA

주현희(Ju Hyeonhee),채영희(Chae Younghee). "근대 시기 외국어 학습서에 나타난 신지식의 수용과 재생산." 인문사회과학연구, 21.2(2020): 211-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