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Rasch 모형을 이용한 직무몰입 척도(UWES-9) 타당성 검토

이용수 1454

영문명
A Psychometric Investigation of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9 Us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휴먼인게이지먼트연구소
저자명
조윤성(Yunseong Jo) 홍아정(Ah Jeong Hong) 정채윤(Chae-yun Jeong)
간행물 정보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제15권 제1호, 111~13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3.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Utrecht 직무몰입 척도 축소 버전(Utrecht Work Engagement Scale-9: UWES-9)은 전 세계적으로 직무몰입을 측정하기 위한 대표적인 도구이며, 국내에서도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측정 도구이다. 그러나 UWES-9 측정 도구의 타당성에 대한 논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결과 국가별 또는 문화권 차이에 따른 측정 불변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우 UWES-9 타당성에 대한 심리측정학적 근거의 검토 없이 단순히 원척도를 번역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대규모 국내 조직구성원 표본을 대상으로 UWES-9의 타당성을 확인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Rasch 측정모형을 적용하여 다양한 차원의 타당도 증거를 확인하였다. 먼저 내용에 기초한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문항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1개의 문항에서 검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제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문항-피험자 지도에서는 UWES-9이 모든 국내 조직구성원의 직무몰입 수준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구조 타당도를 확인하기 위한 Rasch 요인분석에서는 UWES-9이 단일차원과 3차원의 요인구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일반화 타당도 증거를 확보하기 위해 남녀 집단 간 차별기능문항을 확인한 결과, 총 9개 문항 중 8개 문항에서 남녀 간 차별기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Utrecht Work Engagement Scale-9(UWES-9) is a representative tool to measure work engagement, and it is used in several organizations worldwide. However, debate on the validity of the UWES-9 assessment tool is being raised, in particular questions are raised about measurement invariance due to national or cultural differences. The UWES-9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tilized tools to measure work engagement, but there is limited psychometric evidence on its validity. Thus, the present study aimed to test the validity of the UWES-9 in a massive Korean sample, us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to examine validity pertaining to different dimensions. The analysis of item fitness to test the content validity of the tool indicated that one of the items requires reconsideration. Furthermore, the person-item map to test its substantive validity indicated that the UWES-9 did not reflect the level of work engagement adequately enough in the Korean sample. The Rasch factor analysis conducted to test the structural validity of the tool indicated that the UWES-9 showed a single and three-dimensional factor structure. Finally,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was examined to gather evidence on the ability to generalize aspects of the tool’s validity. Findings revealed that eight out of the nine items expressed adequate differentiation between males and femal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결과
V.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윤성(Yunseong Jo),홍아정(Ah Jeong Hong),정채윤(Chae-yun Jeong). (2020).Rasch 모형을 이용한 직무몰입 척도(UWES-9) 타당성 검토.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5 (1), 111-139

MLA

조윤성(Yunseong Jo),홍아정(Ah Jeong Hong),정채윤(Chae-yun Jeong). "Rasch 모형을 이용한 직무몰입 척도(UWES-9) 타당성 검토." 역량개발학습연구(구 한국HRD연구), 15.1(2020): 111-13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