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영화정책 체계의 제도적 전환에 관한 연구 - 사회 민주화와 영화산업 성장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519

영문명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of Korean Film Policy Regime -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democratization and the growth of the film industry
발행기관
한국문화경제학회
저자명
김미현(MEEHYUN KIM)
간행물 정보
『문화경제연구』제23권 제1호, 99~11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한국 영화정책 체계의 제도적 전환을 기술하였다. 비교역사적 방법을 통해 역사적 시기를 구분하고 시기별 차이와 정책실행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한국 영화산업이 성장할 수 있었던 정책 변수와 동력을 찾고자 하였다. 한국 영화정책 체계는 1961년에서 1984년까지의 정부 주도적(government-led) 시기, 1985년 영화시장 개방부터 1998년까지의 제도적 전환기, 1999년부터 현재까지의 시장주도적(market-led)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1980년대 이후의 사회 민주화는 검열제도를 비롯한 불합리한 규제를 폐지하고 진흥 중심의 정책 거버넌스를 구축하였으며,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세대가 영화계에 진출하여 정책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정책 통로를 제공했다. 정책 체계의 제도적 전환은 정책의 가능성과 행위자들의 전략을 변화시켜 시장개방의 위기를 딛고 산업이 성장할 수 있었던 간접적이지만 결정적인 동력이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took a comparative historical approach to the Korean film policy regime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institutionalism. Through this, this tried to find out what the policy variables and forces were that helped the Korean film industry overcome its market opening in the 1980s and subsequent downturns. The Korean film industry has made an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from a government-led system to a market-led system in the wake of the market opening that began in 1985. The opening of the film market caused a crisi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but it also served as a crucial junctures in dismantling the institutional equilibrium of the policy system establish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authoritarian government since the 1960s. Social democratization after the mid-1980s became an indirect but decisive driving force for the success of the film industry, setting the backdrop for industrial capital and up-andcoming personnel to cooperate in the film industry. The change in the political system served as an opportunity to abolish unreasonable regulations, including the censorship system, and to establish policy governance centered on promotion and support, and to provide channels for people who experienced democratic movements to enter the film industry and participate in policy activities. An internal variable that produced unintended consequences of policies by refraction of external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 market opening is the change in the political system caused by the democratization of Korean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검토와 연구방법
Ⅲ. 한국영화 제도의 형성과 변화과정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현(MEEHYUN KIM). (2020).한국 영화정책 체계의 제도적 전환에 관한 연구 - 사회 민주화와 영화산업 성장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3 (1), 99-119

MLA

김미현(MEEHYUN KIM). "한국 영화정책 체계의 제도적 전환에 관한 연구 - 사회 민주화와 영화산업 성장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문화경제연구, 23.1(2020): 99-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