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대중문화론 소고

이용수 306

영문명
The Consideration of Japanese Mass Culture Theory: For the formation of post-war Japan’s mass culture theory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조은하(Eun-Ha Cho)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18호, 263~284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현재 다양한 관점과 이론을 기반으로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는 일본 대중문화론에 있어, 그 뿌리가 되는 전후에서 80년대까지의 일본 대중문화론의 등장에 대해 살펴본다. 형성기의 일본 대중문화론은 전후 격변기 대중의 심성을 분석하기 위해 그들이 향유하는 대중문화를 연구의 시발점으로 삼아 전개되며, 여기에 패전국의 입장에서 외삽적으로 등장한 미국 대중문화의 수용을 겪으면서 이것이 미치는 사회적 영향에 대해 주요하게 착목하고자 했다. 특히 이 시기에 등장한 여러 학자들은 각기 다른 문제의식과 지평 위에서 대중문화를 바라보고 이를 체계화하려 했다. 철학자이면서 동시에 근대적 대중문화에 주목했던 쓰루미 ??스케(鶴見俊輔), 기업가이자 문필가로 대중문화에 대한 현실적 이론을 정립한 쓰쓰미 세이지(堤 清二), 사회학자이며 대중문화와 사회의 상호 관계를 주목한 미타 무네스케(見田 宗介) 등은 각기 다른 학문적 기반에서 출발했으나, 공통적으로 일본의 정세와 대중문화 사이의 상호관계, 사회적 규정성으로부터 탈맥락화되는 대중문화의 독립적 성장, 그리고 대중문화의 새로운 소비 주체의 등장에 주목한다. 그리고 이들의 관심 지점과 연구 방법은 이후 그들의 영향을 받은 90년대 이후 대중문화 연구의 급격한 성장과 함께 확장되어 독특한 일본 대중문화론 형성의 중요한 계기로 작동한다. 또한 ‘오타쿠’로 이야기되는 일본 고유의 대중문화 소비층의 고유성의 뿌리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emergence of Japanese mass culture theory in the post-war era. Japanese mass culture theory developed in the post-war era becomes the root of current Japanese mass culture theories, being based on a variety of perspectives and theory. In order to analyze the mentality of the masses in the post-war era, Japanese mass culture theory in the formative years has set the mass culture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research. Then it has focused on the social effect of the acceptance of American mass culture from the view of the defeated nation. Especially some of the scholars who have appeared in this era tried to systemize the mass culture theory, based on each other views and horizons. Tsurumi Shunsuke, who focused on modern mass culture as a philosopher, Tsutsumi Seiji, who has established a realistic theory of mass culture as a writer and an entrepreneur, and Mita Munesuke, who focused on the interaction of mass culture and society as a sociologist. These three scholars, although they started on the different academic field, share the view. They all give the importanc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ety and the mass culture,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he mass culture and the advent of the consuming subject. Their interest and the research methods play the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uniqueness of the Japanese mass culture theories since the 1990s. And also it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understanding of ‘Otaku’, who are the unique consuming subject in Japan mass culture.

목차

국문요약
1. 일본 대중문화와 대중문화론
2. 쓰루미 ??스케와 대중문화론의 정위
3. 쓰쓰미 세이지와 소비 주체의 대중문화론
4. 미타 무네스케와 ‘현실/허구’ 대립항으로서의 대중문화론
5. 형성기 일본 대중문화론의 특징과 영향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은하(Eun-Ha Cho). (2015).일본 대중문화론 소고. 글로벌문화콘텐츠, (18), 263-284

MLA

조은하(Eun-Ha Cho). "일본 대중문화론 소고." 글로벌문화콘텐츠, .18(2015): 263-2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