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창작공간 개념 고찰 및 유형별 지원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73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Concept of Creative Space and its Support Policy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안지언(Jiun An) 김재범(Jaibeom Kim)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19호, 121~14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5.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나라의 창작공간에 대한 관심은 1997년 이래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예술가의 창작 활동 확보 및 사회의 창조적 역량이 중요시 되는 현 시점에서창작공간의 역할이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창작공간은 학문적이나 제도적 정책적으로 합의된 정의가 존재하지 않으며, 용어 자체도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유사하지만 상이한 용어들과 혼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창작공간에 대하여 우리나라보다 앞서 학문적/정책적 고민을 하였던 독일, 미국, 그리고 일본의 창작공간 개념및 지원정책을 살펴보려한다. 정책적 지원 전과 지원 후의 간섭에 따라 창작공간을 유형화하고, 각국의 창작공간 정책을 매핑하여, 한국의 창작공간 개념 고찰의 근거를 마련하는탐색적 연구를 수행하려 한다. 본 연구는 현재 논의되는 ‘창작공간’의 역할을 예술가만의 공간으로서의 역할과 사회 및 지역과의 긴밀한 연계 역할을 바탕으로 창작 공간의 개념과 역할을 설정하려 한다. 개념을 고찰함에 있어 기능, 사용목적, 운영주체에 따라 분류 하였다. 또한 창작공간을 창작작업, 예술가간의 네트워크 구성, 예술과 사회연결로3가지로 유형화 함으로 각각의 특징 및 법적, 정책적 지원을 고찰하였다. 이는창작공간의 학문적 논의의 풍부함과 더불어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할 것으로기대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함께,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과 미래연구를 위한 방향제언도 함께 논의하여 제시 하였다.

영문 초록

Interests in the country’s creative space has since 1997 grown rapidly. The role of the creative space is important at this time when the creative capacity of the artist’s creative activity and support the more secure and social importance. Nevertheless, the creative space is not a well-established concept in academic and policy terms. The current residency program in Korea has mixed various terms including creative space, creative Residence, creative studio, In addition, the legal, institutional and policy support of the central government is required. Yet, there is not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creative studio status and, thus, the systematic investigation and scientific analysis and support measures for the creative space is needed. In this paper, the cases of Germany, the United States, and Japan have been investigated who have implemented the policy concerned with creative space. More specifically, each country-specific policy on the basis of the countries view towards the concept of creative space, and its support and intervention after the suppor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cept of creative space.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deals with how to set up the concept, the role of the creative space, and how the space serves a role to closely connect with local communities.

목차

국문요약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흐름
3. 국가별 창작공간 개념 고찰 및 정책적 흐름
4. 한국의 창작공간 개념 고찰 및 유형 별 지원방안
5. 맺음말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지언(Jiun An),김재범(Jaibeom Kim). (2015).창작공간 개념 고찰 및 유형별 지원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19), 121-146

MLA

안지언(Jiun An),김재범(Jaibeom Kim). "창작공간 개념 고찰 및 유형별 지원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19(2015): 121-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