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방송콘텐츠의 태국 진출 및 교류 협력을 위한 방안 연구

이용수 203

영문명
A Study on Export,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Broadcasting Contents between Korea and Thailand
발행기관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저자명
문효진(Hyo-jin Moon)
간행물 정보
『글로벌문화콘텐츠』제33호, 63~87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의 방송콘텐츠가 지속적으로 해외에 수출되고 있다. 특히 드라마와 예능프로그램의 인기가 높다. 그리고 수출 지역의 경우, 중국과 일본 등 동북아시아에 집중되고 있지만, 사드문제로 인한 중국의 한한령(限韓令)은 한국 방송콘텐츠의 중국 수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다수의 한국 방송콘텐츠 사업자들은 경영 위기에 직면했으며, 중국이 황금알을 낳는 시장이라는 인식에 변화를 주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한국 방송콘텐츠의 새로운 수출 시장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고, 본 연구는 태국을 그 대안 시장으로 선정해 진출을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리고 한국과 태국 간 방송콘텐츠 수출입에 있어 불균형을 보이고 있는 점을 고려해 태국으로의 일방향적 수출에서 오는 현지인의 부정적인 정서를 해소하기 위한 교류, 협력 방안도 제언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한국 방송콘텐츠가 태국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 요인은 한국 드라마의 경우, 드라마 출연배우들의 ‘매력적인 외모’ 때문이라는 응답이, 한국 예능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 컨셉과 포맷이 좋아서’라는 응답이 많았다. 한국 방송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주로 ‘TV방영을 통해 시청’하고 있었으며, ‘온라인을 통해 유료로 시청했다’와 ‘온라인을 통해 무료로 시청했다’는 응답도 높게 나타났다. 더불어 한국 방송콘텐츠 효과의 경우에는 ‘한국 방송콘텐츠 호감도’와 ‘한국 제품에 대한 구매의도’, ‘한국에 대한 방문의도’, ‘한국에 대한 호감도’와의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한국 방송콘텐츠를 좋아하면 할수록 한국 제품을 구매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고, 한국을 방문하고픈 의도와 한국에 대한 국가 호감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are exporting all around world. Especially Korean drama and entertainment contents gain popularity in Asia and the broadcasting contents trade surplus, bolstered by the “Korean wave”, has increased. Recently the contents trade surplu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due to China’s economic sanctions so we need the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for the broadcasting contents. There is the popularity of Korean culture contents in Thailand and Thailand is one of very important country for Korea broadcasting contents export.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at the export, exchange and cooperation for broadcasting contents between Korea and Thailand. The analysis on survey data showed that the popularity factors of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are ‘attractive appearance’ and ‘good program concept and format’. And Thailand people watch TV and use Internet(‘paid access on the Internet’, ‘free on the internet’) when they consume the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Lastly the Korean broadcasting contents preference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Korean product purchase intentions, visit intentions on Korea and preference toward Korea.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한국 방송콘텐츠 규모 및 특성
3. 한국과 태국 간 방송콘텐츠 교류 현황
4. 태국 내 한국 방송콘텐츠 현황 및 특성
5. 태국 내 한국 방송콘텐츠 인기요인, 소비 방식, 효과
6.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효진(Hyo-jin Moon). (2018).한국 방송콘텐츠의 태국 진출 및 교류 협력을 위한 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33), 63-87

MLA

문효진(Hyo-jin Moon). "한국 방송콘텐츠의 태국 진출 및 교류 협력을 위한 방안 연구." 글로벌문화콘텐츠, .33(2018): 63-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