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이용수 199

영문명
The Study on th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to Collaboration
발행기관
한국교양교육학회
저자명
김선주(Kim, SeonJu)
간행물 정보
『교양교육연구』제12권 제3호, 11~37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김선주(성신여자대학교)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우리 교육도 미래 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역량 있는 인재 양성 교 육으로 변화해야 할 시급한 시점에 놓여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갖추어야 할 중요 역량 중 하나인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협업 인식을 토대로 하여,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을 마련과 협업 역량 강화를 위한 교과목 운 영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지역 A, B, C 대학의 대학생 407명의 자료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업을 경험한 횟수가 5회 미만인 학생이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우 리 대학생들의 협업 역량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4차 산업 혁명시대를 살아가는 데 필 요한 역량을 기르고 성공적인 직장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하기 위해서는 대학에서 협업의 기 회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협업 참여 형태에서는 우리 학생들이 협업을 할 때 주로 성 실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협업이 불편한 이유로 ‘불성실한 팀원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협업의 성과를 위해 자신의 역할 수 행에 대한 책임감 교육과 의사소통 능력, 리더십에 대한 교육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둘째, 협업 경험이 많을수록, 리더로 참여할수록, 협업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이 있을수록 협업 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교수자가 교육현장에서 협업 환경을 만들어주고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경험할 수 있도록 계획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셋째, 협업의 효과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상호간 신뢰가 있을수록 협업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협업에 대한 긍정적 경험 환경조성으로 협업의 효과를 스스 로 체득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대학생들의 협업 역량을 길러주기 위해서는 대학의 교육과정 운영에서 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 을 증진시켜야 한다. 또한 조력자, 동기부여자로서 교수자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할 수 있 다.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혐업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초 록35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협업 프로그램을 계획,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며 협업의 성과를 높이는데 일조 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our education is at an urgent point to change into a talented person training program to cope with the future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about collaboration, one of the important competencies that college students should ha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for strengthening collaboration capabilities and to help students to operate their curriculum to enhance their collaboration capabilities based on the recognition of collaboration among colleg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data of 407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rea, A, B, and C colleg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th less than five times of collaboration experience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all respondents, indicating that our college students lacked the ability to collaborate. Therefore, in order to cultivate the capacity to liv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o fulfill its role as a successful worker, I think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collaboration in universities. In the form of collaborative participation, we found that our students tend to be sincere and actively involved in collaboration. However, because of the inconvenience of collaboration, stress due to unfaithful team members is the highest.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responsibility education, communication ability, leadership education should be given priority for the performance of collaboration. Second, as more collaborative experience, more involvement as a leader, and more positive experience as a collaborator were found, the perception of collaboration necessity was higher.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for the instructor to create a collaborative environment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to plan for a positive and positive experience. Third, the more positive perception about the effect of collaboration, the higher the mutual trust, the higher the necessity of collabor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elp the students to acquire the effect of collaboration by creating a positive experience environment for collaboration. To develop college students ability to collaborate, education for competency development should be promoted in the operation of university curriculum. In addition, the role of teachers as assistants and motivators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students perceived the perception of the collabor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to plan and operate collaborative programs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contribute to enhance collaboration performance.

목차

1. 들어가며
2. 협업의 개념
3. 4차 산업혁명과 협업
4.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5.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주(Kim, SeonJu). (2018).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12 (3), 11-37

MLA

김선주(Kim, SeonJu). "협업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연구." 교양교육연구, 12.3(2018): 1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