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김제 벽골제 발굴조사 개요

이용수 139

영문명
Summary of Excavation Researches of Byeokgolje in Gimje - With a focus on the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Jungsimgeo
발행기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저자명
진만강(Jin, Man-Gang) 곽스도(Gwak, Seu-Do) 안현중(Ahn, Hyoun-Jung)
간행물 정보
『마한백제문화』제27집, 85~105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6.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2012년부터 3차에 걸쳐 시·발굴조사를 실시하였던 중심거 구조의 특징과 축조과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문헌기록에 의하면 벽골제에는 5개의 수문(水門)이 설치되어 있으며, 수여거(水餘渠), 장생거(長生渠), 중심거(中心渠), 경장거(經藏渠), 유통거(流通渠)이다. 중심거는 일직선을 이루며 잔존하고 있는 벽골제의 중앙부분에서 북쪽으로 치우쳐 위치하고 있으며, 남쪽으로 약 1.45㎞ 떨어진 곳에는 경장거, 북쪽으로 약 0.55㎞ 떨어진 곳에는 장생거가 위치하여 있다. 중심거 조사에서는 도수로(導水路), 갑문(閘門), 방수로(放水路)와 관련된 구조물들이 발굴되어 수문의 구조 및 형태, 축조방법 등이 확인되었으며, 중심거의 축조과정은 제방굴착 - 기초지반보강 - 중심거 구조물 축조 및 할석을 이용한 뒤채움 등 총 3단계로 구분할 수 있었다. 1단계는 중심거를 축조하기에 앞서 제체(堤體)의 일정부분을 1차 부엽층 상부에 있는 표토블록 성토층(암회색점질실트)의 일부분까지 굴광한 후, 20~50㎝ 크기의 할석을 이용하여 깔아 놓았다. 2단계는 기초지반보강이다. 중심거 구조물은 연약지반 상부에 위치하고 있어 일차적으로 연약지반을 견고하게 한 후,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지반보강공법이 필수적이며 중심거 구조물의 하부에 시설되어 있는 1차 부엽층과 부정형의 소형 할석은 이러한 기능을 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3단계는 갑문, 도수로, 방수로로 구성되어 있는 중심거 구조물의 축조이다. 중심거 구조물의 전체적인 형태와 구조를 살펴보았을 때, 제체의 보호, 구조물간의 안정화 등을 염두해 두고 계획적으로 축조된 것으로 판단되며 갑문을 중심으로 도수로와 방수로의 구조물이 거의 대칭적으로 축조되고 있다. 중심거의 초축시기는『신증동국여지승람』「벽골제 중수비」와『조선왕조실록』태종 15년(1415)에 기록된 내용을 보았을 때 최소 태종 15년(1415) 이전에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e present paper i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Jungsimgeo and its construction process that have been investigated three times starting from 2012 onward. Some structures assumed to be parts of the link canal, floodgate, and drain were discovered during the exploration of Jungsimgeo from which the structure, shap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water gate could be confirmed. Based on the discovery, it may be said that Jungsimgeo was built through the three stages: digging the levee - reinforcing the foundation ground - constructing Jungsimgeo and refilling the levee with broken stones. In the first stage, a portion of the levee body was digged until some layers of banking made of turf-blocks i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organic horizon could be exposed and 20~50cm-long broken stones were laid on it in preparation for construction of Jungsimgeo. The second stage covered reinforcing the foundation ground. Since Jungsimgeo was to be placed on the upper part of flimsy ground, it was essential to employ the ground reinforcement method to solidify first of all the flimsy ground and then to disperse the load of upper structures. It is assumed in this regard that the 1st organic horizon and unstructured small-sized broken stones fitted beneath the structures of Jungsimgeo played a role. The third stage was to construct Jungsimgeo which consisted of floodgate, link canal and drain. Considering the overall form and structure of Jungsimgeo as well as the fact that link canals and drains are constructed fairly symmetrically, it is presumed that emphasis was laid on protection of the levee body and stabilization of the structures when planning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records of「Sinjeung or Revised Enlargement of Donggukyeojiseungram (新增東國輿地勝覽)」,「Monument for Remodelling of Byeokgolje (碧骨堤重修碑)」, and the「Annals of the Joseon Dynasty」(1415) for King Taejong s 15th year of reign, the first construction of Jungsimgeo was believed to have been completed no later than the 15th year of King Taejong s reign (1415).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사내용
Ⅲ. 조사결과 및 성과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만강(Jin, Man-Gang),곽스도(Gwak, Seu-Do),안현중(Ahn, Hyoun-Jung). (2016).김제 벽골제 발굴조사 개요. 마한백제문화, 27 , 85-105

MLA

진만강(Jin, Man-Gang),곽스도(Gwak, Seu-Do),안현중(Ahn, Hyoun-Jung). "김제 벽골제 발굴조사 개요." 마한백제문화, 27.(2016): 85-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