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데이빗 헨리 황의 『엠. 버터플라이』

이용수 226

영문명
David Henry Hwang s M. Butterfly: Representation, Imperialism and Depoliticization
발행기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영미연구소
저자명
정태진(Chung, Tai-jin)
간행물 정보
『영미연구』제48집, 131~15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엠. 버터플라이』를 재현이론 및 글쓰기전략으로서의 패러디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작품이 발표되었던 1980년대는 주요 이론적 개념들인 재현/반재현론들, 탈식민주의, 반성차별주의, 반제국주의 비평이론이 발전하던 비평이론의 전환기였다. 1985년에 발표된 『엠. 버터플라이』는 패러디기법을 통해 원전텍스트인 지오코모 푸치니의 『마다마 버터플라이』의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성차별주의를 해체하고 저항하는 글쓰기/연극이라고 작가 스스로 주장하고, 주류비평계에 의해서 새로운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는 데이빗 헨리 황의 글쓰기 방식인 ‘패러디’의 한계를 살펴보고, 그 한계들로 인해 연극 자체에서 발생하는 이중적 특권화, 즉 내레이터로서의 주도권 및 극중극의 연출자로서의 주도권이 제국주의의 남성주인 공인 갈리마르에게 부여됨으로서 소수자로서의 중국계 인물인 송 릴링의 목소리는 부재하게 되는 모순적 결과를 낳았고, 이러한 현상이 백인 주류관객층의 담론 질서와 정치적 올바름에 부응하며, 저항성은 사라지고 무정치적이고 비역사적이며 낭만화의 왜곡을 낳는 비저항적이고 주류문화계에 순응적인 작품으로 소비되고 재생산된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ad M. Butterfly in terms of representation and parody. The 1980s saw the advent of critical issues of representation, anti-representation, post-colonialism, post-imperialism, and gender studies. Hwang s M. Butterfly takes advantage of the technique of parody to mimic and criticize the aforementioned critical concepts of colonialism, imperialism, and gender bias in the canonical original text, Giacomo Puccini s Madama Butterfly. In general, Hwang s theatrical intention seems to satisfy the expectations of white mainstream spectators, theatrical scholars and critics. This study, however, goes the opposite way to critically re-evaluate the self-imposed limits of Hwang s writing strategy of parody ; the double limits of both privileging of the white male protagonist Rene Gallimard as dominant narrator of the crucial mise-en-scène and granting the quintessential initiative of the ‘director of the drama within the drama, G. Puccini s Madama Butterfly. As a result, contrary to Hwang s theatrical intention, Chinese character Song Lilling s voice as ethnic minority remains silent or ignored. Hwang s parodic theatrical performance fails to write back the white mainstream s discursive order and as a result the drama is co-opted to the dominant discourse and the political correctness of white mainstream audience. In this study, we are going to read Hwang s M. Butterfly as a depoliticized, dehistoricized, and romanticizing play that has no manifest residue of resistance and political praxis to challenge colonialism, imperialism, and gender bias.

목차

Ⅰ. 서론
Ⅱ. 데이빗 헨리 황의 『엠. 버터플라이』 공연에 대한 평가
Ⅲ. 저항적 글쓰기/우회적 글쓰기
Ⅳ. 패러디의 우회로: 이중적 특권화의 모순
Ⅴ. 패러디: 내러티브의 백인지배
Ⅵ. 이상적 관객: 동양의 스펙타클
Ⅶ. 시선의 감시망: 주류관객들의 판옵티콘적 시선
Ⅷ. 결론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진(Chung, Tai-jin). (2020).데이빗 헨리 황의 『엠. 버터플라이』. 영미연구, 48 , 131-156

MLA

정태진(Chung, Tai-jin). "데이빗 헨리 황의 『엠. 버터플라이』." 영미연구, 48.(2020): 131-1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