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소통 수준에 대한 평가

이용수 134

영문명
Evaluating the communication of Presidents since democratization
발행기관
한국정책개발학회
저자명
신현기(Hyunki Shin) 우지숙(Jisuk Woo)
간행물 정보
『정책개발연구』정책개발연구 제19권 제2호, 75~108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대통령의 소통을 수동적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득행위로 규정했던 기존 관점을 비판하고, 말하기와 듣기가 균형을 맞춘, 국민과의 쌍방향적 대화에 기초한 상호이해라는 관점으로 대통령의 소통 개념을 재정립했다. 이러한 관점은 대통령이 정책을 결정하거나 추진할 때, 시민사회의 공론장에서 형성된 공적 사안에 대한 합리적 의견을 수용하는 형태로 그 결정과 추진과정의 정당성을 인정받아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대통령의 소통에 대한 이러한 개념에 기초해 대통령의 소통 평가요인을 구성한 뒤 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소통 수준을 실증적으로 평가했다. 대통령 평가요인은 소통태도, 소통자원, 투명성, 쌍방향성 등 4개 대범주 아래 총 11개 평가요인으로 구성했다. 이 기준에 따라 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소통 수준을 평가한 결과, 보수 성향 대통령(김영삼, 이명박)은 소통자원과 투명성 측면에서 강점이 있었고, 진보 성향 대통령(김대중, 노무현)은 소통태도와 쌍방향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riticize the existing view that defined the communication of president as persuasion of the passive people, and to redefine it as mutual understanding based on interactive dialogue with the people, in which speaking and listening of presidents were balanced. This definition concerning the communication of president suggested that when presidents decided or pursed policies, they should be recognized for the legitimacy of their decision by accepting the public opinion on issues which was formed at ‘public sphere’ of civil society. Based on this concept of the communication of presidents, this study designed evaluation factors of the communication of presidents, and evaluated empirically the level of the communication of presidents since democratization. The evaluation factors consisted of 11 factors, which divided into 4 categories including ‘communication attitude’, ‘communication resources’, ‘transparency’, and ‘interactivity’. It was found that the conservative presidents (Kim Young- sam and Lee Myung-bak) had strengths in communication resources and transparency, while the liberal presidents (Kim Dea-jung and Rho Mu-hyun) had advantages in communication attitude and interactivity.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배경
1. 대통령의 소통 리더십
2. 대통령의 소통의 두 가지 측면
3.선행연구 검토: 대통령의 소통에 대한 평가요인
Ⅲ. 연구방법
1. 평가요인의 선정 및 정의
2. 평가요인의 우선순위 측정
3. 평가요인 측정
Ⅳ. 분석결과
1. 대통령의 소통 평가요인 우선순위
2. 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소통 수준 평가
Ⅴ. 결론 및 토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신현기(Hyunki Shin), 우지숙(Jisuk Woo). (2019).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소통 수준에 대한 평가. 정책개발연구, 19 (2), 75-108

MLA

신현기(Hyunki Shin), 우지숙(Jisuk Woo). "민주화 이후 대통령의 소통 수준에 대한 평가." 정책개발연구, 19.2(2019): 75-10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