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북경제공동체 형성 가능성 및 공법적 과제

이용수 127

영문명
Possibility of Forming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and Public Legal Tasks
발행기관
통일과 북한법학회(구 북한법연구회)
저자명
한명섭(Han Myung Sub)
간행물 정보
『북한법연구』제22호, 43~7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발라사(B. Balassa)는 경제공동체 형성을 자유무역지대, 관세동맹, 공동시장, 화폐 및 경제동맹 및 완전한 통합의 다섯 단계로 구분하고 있다. 남북경제공동체는 가장 낮은 단계인 자유무역지대 형성조차도 북한의 개방을 전제로 남북한 상호 교역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수준은 되어야 실현이 가능하다. 하지만 북한의 경제개방에 대한 경계, 외국자본과 남한자본을 차별하는 대외투자법제 등을 고려하면 유엔 등 국제사회의 대북 경제제재가 완화되거나 해제된다고 해도 남북한 교역이 FTA 체결을 논의할 만큼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 남북경제공동체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진행되려면 남북한 간의 법적 지위에 대한 상호 간 입장에 변화가 필요하다. 적어도 ‘동서독기본조약’ 체결 이후 서독이 동독의 국가성을 인정한 수준 정도의 변화는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이후 이에 기초하여 남북한 간의 상품, 더 나아가 자본과 노동 및 서비스의 이동까지 자유로운 상태로 남북관계가 획기적으로 변화되어야 만 남북경제공동체 형성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B. Balassa divides the economic community into five stages: free trade zones, customs unions, common markets, money and economic unions, and full integration. The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can be realized only when the free trade zone, the lowest level, is formed at the level of free trade between the two Koreas, assuming that North Korea is open. Considering the North s vigilance against economic openness and the foreign investment law that discriminates against foreign capital and South Korean capital, however, the trade between the two Koreas is unlikely to expand enough to discuss the FTA, even if international economic sanctions on the North are eased or lifted. The concrete discussion on the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requires a change in the mutual stance on the legal status between the two Koreas. At least, after the conclusion of the East-West Germany Treaty, there should be some changes to the level that West Germany recognized the nationality of East Germany. After that, concrete discussions on the formation of the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can only proceed if the inter-Korean relations have changed drastically in the free state of goods between North and North Korea, and even free movement of capital, labor and services.

목차

Ⅰ. 서론
Ⅱ. 경제공동체 개념과 남북경제공동체
Ⅲ. 남북경제공동체 형성 필요성과 가능성에 대한 검토
Ⅳ. 남북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공법적 과제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명섭(Han Myung Sub). (2019).남북경제공동체 형성 가능성 및 공법적 과제. 북한법연구, (22), 43-79

MLA

한명섭(Han Myung Sub). "남북경제공동체 형성 가능성 및 공법적 과제." 북한법연구, .22(2019): 43-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