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육입(saḷāyatana)설을 통해본 열반(nibbāna)의 실존적 측면에 대한 고찰

이용수 41

영문명
A Consideration of the Existential Aspects of Nibbāna through the Saḷāyatana Theor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이은정(Lee, Eun Jung)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61호, 271~30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2.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육입을 첫 번째 지분으로 하는 연기설은 인식작용의 과정을 해명하는 가르침으로 볼 수 있다. 육입은 눈·귀·코·혀·몸·마음기능과 시각대상·소리·냄새·맛·감촉·마음현상 등이 만나는 곳으로 현실적 삶과 가장 가까이 닿아 있는 곳이다. 또한 괴로움이 발생하는 곳이기도 하며 괴로움이 소멸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본 고는 인식작용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괴로움에 대해 고찰하고, 이후 발생된 괴로움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시한다. 인식작용 중에 발생된 괴로움으로는 견해, 지각, 생각, 망상 등이 있다. 이러한 괴로움들은 현실적으로 살아가면서 언제라도 맞닥뜨릴 수 있는 실존적 괴로움이라 할 수 있다. 일상적으로 보고, 듣고, 감지할 때에 알아야 하는 것은 볼 때는 단지 봄만이 있어야 하고, 들을 때는 단지 들음만이 있어야 하고, 감지할 때는 단지 감지함만이 있어야 할 것이다. 괴로움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바른 반야로 볼 때 괴로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특히 망상을 자르면 괴로움을 건너 완전한 열반에 이를 수 있게 된다. 괴로움이 제거된 열반은 초기불교의 가르침에 한해서는 ‘탐욕·성냄·어리석음의 멸진’이라는 부정적인 개념으로 한정되어야 한다. ‘탐욕·성냄·어리석음’이 남김없이 다한 열반의 경험은 스스로 보아 알 수 있으며 각자가 알아야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열반은 실존적인 삶 속에서 점진적인 수행을 통하여 점진적인 깨달음으로 나아가는 초기불교 수행론의 일반적인 분위기에 부합된다고 할 수 있다. 육입을 첫 번째 지분으로 하는 연기의 가르침은 실존적 측면에서 바라본 괴로움의 발생과 괴로움이 제거된 열반을 설명해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Paṭiccasamuppāda with saḷāyatana theory as the first link can be seen as a teaching to explain the process of cognition. The six senses are the places where eyes·ears·nose·tongue·body·mind function and visual object·sound·smell·taste·touch·mind phenomena meet the closest to the real life. It is also where suffering occurs and where it can be extinguished. This paper considers the suffering that occurs during the process of cognition and suggests ways to eliminate the suffering that occurs. The sufferings that occur during cognitive action include opinion, perception, thought, and delusion. These sufferings are existential sufferings that can be encountered at any time in reality. What you need to know when you see, hear, and sense on a daily basis is that there should be only seeing when you see, there should be only hearing when you hear, and there should be only perceiving when you perceive. When you see the suffering as it is through Right paññā, you can be free from suffering. Cutting delusions, in particular, can lead you to the end of suffering and to full nibbāna. In the early Buddhist teachings, nibbāna where suffering was removed should be limited to the negative conception of greedy, anger, and ignorance. The experience of nibbāna is self-evident and each person should recognize it. This nibbāna can be said to correspond to the general atmosphere of early Buddhist practice theory, which leads to gradual enlightenment through gradual practice in existential life. Paṭiccasamuppāda with saḷāyatana theory as the first link can explain the emergence of suffering from the existential and the nibbāna in which the suffering was removed.

목차

I. 들어가는 말
II. 괴로움의 발생 측면에서 본 육입(saḷāyatana)과 지각(saññā)
III. 괴로움의 소멸 측면에서 본 망상(papañca)
IV. 열반(nibbāna)의 실존적 측면과 그 실현 가능성
V.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정(Lee, Eun Jung). (2019).육입(saḷāyatana)설을 통해본 열반(nibbāna)의 실존적 측면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61 (61), 271-300

MLA

이은정(Lee, Eun Jung). "육입(saḷāyatana)설을 통해본 열반(nibbāna)의 실존적 측면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61.61(2019): 271-30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