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정보유출에 따른 위자료 배상 연구

이용수 193

영문명
A study on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alimony compensation through the so-called Pharmacological Information Center Case
발행기관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저자명
구영신(Youngshin Koo)
간행물 정보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Vol.13 No.1, 43~6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11.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정신적 손해로 위자료가 지급된 사례는 2차 피해가 없는 한 찾기 힘들다. 소위 약학정보원 사건에서 법원은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정보주체의 정신적 손해 유무의 판단기준에 관한 기존 대법원 판례 법리를 적용하여 정신적 손해배상청구를 기각하였다. 그러나 위 대법원 판례에서 제시하는 손해 유무의 판단 기준은 개인정보를 불법 수집한 제3자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를 한 경우 적용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피해의 특성이나 개인정보의 민감성 정도 등이 충분히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개인정보 보호법」상의 법정손해배상 규정은 개인정보처리자가 아닌 자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에는 적용되지 않아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정신적 손해 유무의 판단기준에 대한 연구는 여전히 절실하다.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정신적 손해 유무의 판단에는 우리 사회가 개인정보에 부여하는 가치와 인식이 반영된다고 할 것이다.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이 실정법에 구체화되어 있고, 정보화 사회에서 개인정보는 경제적 가치를 창출해 내는 자원으로서 실제상품처럼 거래되고 있는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정신적 손해 발생의 판단기준은 좀더 적극적이고 실질에 맞게 재설정되어야 한다.

영문 초록

It is hard to find a case where alimony was paid due to mental damage caused by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unless there is secondary damage. In the so-called Pharmacological Information Center case, the court rejected the mental damages claim by the analogy with an existing Supreme Court precedent on the basis of judging whether or not the data subject has suffered mental damage due to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However,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data subject has suffered damage caused b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s difficult to apply when the data subject claims damages against a third party who illegally collected his or her personal information. In addition, it appears that the nature of the damage caused b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or the degree of sensitivity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fully considered. Moreover, since the regulation on compensation for damages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not apply to claims for damages against those who are not personal information controllers, research on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any mental damages have occurred due to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is still urgently needed. It will be said that judging whether there are any mental damages due to the leakage of personal information directly reflects the values and perceptions that our society places on personal information.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self-determination right of personal information is specified in the real law, and personal information is traded like a real product as a resource that generates economic value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e judgment criteria for the occurrence of mental damage should be reset to a more active and practical level.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약학정보원 사건과 판례 요지
III. 개인정보 유출과 유출사안의 분류
IV.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손해배상제도
V. 개인정보 유출에 따른 위자료 배상
VI.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영신(Youngshin Koo). (2019).개인정보유출에 따른 위자료 배상 연구.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13 (1), 43-69

MLA

구영신(Youngshin Koo). "개인정보유출에 따른 위자료 배상 연구." 생명윤리정책연구(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13.1(2019): 43-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