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 개별 장르별 글쓰기가 지니는 효과와 의미

이용수 190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and meaning of writing by each genre in the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Focused on the writing o‘f Narrative of observation’-
발행기관
한국문화융합학회
저자명
이채영(Lee Chae Young)
간행물 정보
『문화와융합』제36권, 151~182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복합학 > 학제간연구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학술적 글쓰기와 자기 성찰적 글쓰기가 기계적으로 구분되어 자칫 대립적인 양 극단의 개념으로 비춰질 수 있다는 문제와, 대학 글쓰기 교육 연구의 거시적, 미시적인 차원의 논의가 이루어질 필요성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입각하여 본고에서는 학술적 글쓰기와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융합할 수 있는 글쓰기 교육의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개별 장르의 글쓰기 수행의 과정과 그 결과에 초점을 두게 되었고 그 결과 특히‘ 개별 장르 글쓰기’ 중‘ 관찰 서사 쓰기’를 집중적으로 살펴보았다. 선행 연구자들의 논의를 바탕으로‘ 관찰’의 기능과 의의를 탐색하고, 관찰의 방식과 단계를 제시하였다. 또 관찰 서사의 종류와 특성을 살펴보고, 관찰 서사 쓰기가 지니는 의미와 효용성, 나아가 관찰 서사 쓰기의 방식과 단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관찰과 관찰 서사 쓰기의 단계는 필연적으로 관찰 서사와 관련한 글쓰기 수업과 연계된다. 이에 관찰 서사 쓰기의 예시 수업을 주차 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해 논하고 관찰서사의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관찰 서사 쓰기는 다시 세부 장르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그 성격과 목적을 달리 하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학술적 글쓰기 장르냐, 자기 성찰적 글쓰기 장르냐의 여부를 떠나 관찰 서사는 그 자체만으로 이미 개인적 체험, 성찰의 과정과 분석, 비판의 과정 모두를 담보하고 있기에 통합적 글쓰기로 도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닌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tarted from the necessity to make micro and macro level discussion on the writing education of university and issues that academic writing and self-reflective writing are inadvertently viewed as a problem of the concept of extremes as they are classified mechanically. On the basis of such issu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a way of writing education which can blend academic writing and self-reflective writing. Therefore, the process and the result of writing each genre were focused. Specially, writing narrative of observation out of Writing each genre was intensively observed. Based on the discussion of preceeding researchers, the function and meaning of observation was examined to propose a way and step of observation. In addition, the kind and specialty of narrative of observation were examined to derive the meaning and effectiveness of writing narrative of observation and a way and step of writing narrative of observation as well. The step of observation and writing narrative of observation are inevitably linked to writing class related to the narrative of observation. Therefore, the sample class plan of writing narrative of observation were categorized by week and suggested, discussed how they are utilized and proposed actual case of narrative of observation. As a result, it is observed that the writing narrative of observation has flexibility unlike its nature and purpose in the process of combining with detailed genre. In addition, as the narrative of observation has already secured personal experience, the process of reflection and all processes of analysis and criticism, it has possibility to reach to integrated writing.

목차

1. 문제 제기 - 개별 장르별 글쓰기 교육의 필요성
2. 관찰 서사 쓰기를 통한 개인적·사회적 관점의 조화와 통합적 글쓰기에의 도달 가능성
3. 관찰 서사 쓰기의 활용 방안과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 본 효과와 의미
1) 관찰 서사 쓰기의 활용 방안
2) 사례를 통해 살펴 본 관찰 서사의 효과와 의미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채영(Lee Chae Young). (2014).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 개별 장르별 글쓰기가 지니는 효과와 의미. 문화와융합, 36 , 151-182

MLA

이채영(Lee Chae Young). "대학 글쓰기 교육에 있어 개별 장르별 글쓰기가 지니는 효과와 의미." 문화와융합, 36.(2014): 151-18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