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축음기상회의 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의 음반소비

이용수 150

영문명
Nipponophone Company and Record Consumption in Colonial Korea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최혜은(Choi, Hye Eun)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14호, 40~72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11.30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세기 초 일본의 선구적인 레코드 회사였던 일본축음기상회(Nipponophone Company, 약칭 일축)는, 식민지 조선에서도 1911년부터 지점을 개설하고 조선음반을 생산하는 등 음반 시장을 개척해 나간다. 일축은 일본의 민족기업이 아니라 일본에 기반을 둔 외국인의 투자에 의해 세워진 외자기업이었으며, 이들 투자자들이 경영에도 직접 참여하고 있었다는 사실은 오늘날까지 한국의 음반사 연구에서 큰 고려의 대상이 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은 일축이 설립된 1910년경부터 콜롬비아의 자회사로의 편입이 시작된 1927년까지의 기간 동안 일축의 기업경영 방식을 고찰함과 동시에, 일축이 외자기업이라는 이슈를 극복하고 민족기업으로의 이미지 창출을 위해 일본과 조선에서 어떠한 현지화 전략을 구사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 글은 한 걸음 더 나아가 1910년대 전반기에 발행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일축의 외국 레코드 카탈로그를 토대로 일축이 과연 세계적인 메이저 회사들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운영되던 회사였는지에 의문을 제기한다. 한편 일축이 조선에서 음반 사업을 시작한 1910년대에는 조선인들의 음반구매력이 아직 본격적인 궤도에 올라가지 못하였고, 음반의 구매 가능성이 큰 일본인들 및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했던 조선의 도시들에 일축의 특약점이 위치했다는 점에 근거하여, 일축이 조선에 살고 있었던 다양한 민족을 대상으로 하는 음반산업을 구상했을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그러한 다민족을 위한 일축의 음반유통이 조선인 음반소비자들을 당시의 글로벌한 음악문화의 소비자로 창출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점도 아울러서 살펴본다.

영문 초록

Ilbon Ch’ugŭmgi Sanghoe (Ilch’uk hereafter) was the oldest and one of the most influential record companies in the Japanese empire. In 1911, one year after Korea’s colonization, the company opened a branch office in Kyŏngsŏng. In doing so, Ilch’uk became the first record company to open in colonial Korea and the only one that produced Korean records until the middle of the 1920s. Accordingly, scholars in South Korea have generally considered Ilch’uk to be a “Japanese” company. The company history of Ilch’uk, however, challenges this assumption, since it was a foreign ‐ funded and foreign ‐ managed company from its establishment. Recognizing that Ilch’uk along with other major record companies in Japan were transnational companies is significant because it helps in un-derstanding the formative period of the Korean record industry, not only in the political context of Korea’s relations with Japan, but in the global economic context as well.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how Ilch’uk was able to take root in its markets, focusing on the company’s localization strategies, which I call “image politics.” Then, I intend to challenge the common perception that Ilch’uk was an independent company, and thereby demonstrate that it had special connections with major record companies in Europe and the U.S. even before it became Nippon Columbia. I also argue that the tar-geted consumers of Ilch’uk were not limited to Koreans, but included other ethnic groups residing in colonial Korea, especially Japanese. In doing so, I hope to illuminate that Korean modernists of the early 20th century, along with their Japanese counterparts, were consumers of the global sound culture of the era, mediated through transnational record companies.

목차

1. 들어가며
2. 일본축음기상회의 등장
3. 일본축음기상회의 현지화 전략
4. 일본 음반업계의 정황과 니폰콜럼비아로의 전환
5. 출장녹음의 중단
6. 일축의 독립성을 둘러싼 이견들
7. 식민지 조선의 음반 소비자들
8. 조선인의 음반 소비 양상
9. 나가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혜은(Choi, Hye Eun). (2014).일본축음기상회의 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의 음반소비. 대중음악, , 40-72

MLA

최혜은(Choi, Hye Eun). "일본축음기상회의 정체성과 식민지 조선의 음반소비." 대중음악, .(2014): 40-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