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970년대 한국 청년문화의 문화적 정체성

이용수 509

영문명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Youth Culture in the 1970’s
발행기관
한국대중음악학회
저자명
김창남(Kim Chang Nam)
간행물 정보
『대중음악』통권 2호, 144~165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8.11.30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대중음악사에서 1970년대의 통기타음악은 몇 가지 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우선 1970년대의 통기타음악은 한국 대중음악 사상 처음으로 젊은 세대의 문화가 기존의 주류 대중음악 질서를 전복하면서 새로운 주류를 형성한 세대혁명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그것은 한국 문화 전반이 과거 일제강점기를 통해 형성된 문화 질서로부터 미국 문화의 영향 속에서 새로운 문화질서로 재편되는 과정을 반영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1970년대의 한국 모던포크가 가지는 중요성은 그것이 미국을 비롯한 서구 대중음악의 절대적영향 속에서 태동했으면서도 한국 청년세대의 감성과 의식을 담보하는 한국적 청년문화의 양상으로 발전해갔다는 점에 있다. 주로 외국 음악의 번안으로 시작되었던 통기타음악은 개성적인 싱어송라이터들의 등장과 함께 상당히 폭넓은 음악적 스펙트럼을 보여주었다. 그 속에는 정치적인 저항의 메시지를 담은 모던포크부터 낭만적인 팝 성향의 음악까지 다양한 음악적 경향이 존재했다. 이러한 다양성이 존재했는데도 통기타음악이 흔히 한 묶음으로 취급되는 것은 그것이 당대의 사회적 질서와 상당한 길항 관계를 형성했고 정치권력에 의해 매우 직접적인 통제와 억압을 받아야 했으며 결국 시장에서 사실상 강제로 퇴출되어야 했다는 사정 때문이다. 이 글은 1970년대 한국 통기타음악이 미국 문화에 대한 모방에서 출발해 미묘한 변화를 겪으며 한국적인 청년문화의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문화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Korean modern folk music has some very important meanings in Korean popular music history. The Korean modern folk in 1970s was a kind of generation revolution that the young generation culture overturned the system of established mainstream pop music. It wa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general Korean culture under the influence of US culture. Korean modern folk music in 1970’s had been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western pop music but it developed into Korean youth culture that represents emotion and consciousness of the Korean youth generation. In that process, Korean modern folk formed rivalry relation with social order of the older generation. It had to take very directive suppression from the government, thus practically exterminated from the market. This essay looks into the process of 1970s Korean modern folk music developed starting from imitating US culture to establishing true character of the youth culture to clarify the cultural significance.

목차

1. 왜 다시 청년문화를 이야기하는가?
2. 1970년대 청년문화의 사회적 배경과 차이의 정치학
3. 통기타음악의 특성과 변화 과정
3.1. 팝 음악의 영향: 번안곡 시대에서 싱어송라이터의 시대로
3.2. 통기타음악의 스펙트럼: 모던포크에서 포크팝까지
3.3. 통기타의 의미: 아마추어리즘에서 프로페셔널리즘으로
4. 통기타음악의 소멸과 청년문화의 좌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창남(Kim Chang Nam). (2008).1970년대 한국 청년문화의 문화적 정체성. 대중음악, , 144-165

MLA

김창남(Kim Chang Nam). "1970년대 한국 청년문화의 문화적 정체성." 대중음악, .(2008): 144-1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