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국행정법상 적법절차원리의 의미와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2

영문명
A Study on the Meaning and Application of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in the U.S. Administrative Law
발행기관
한국행정법학회
저자명
황의관(Eui-Kwan Hwang)
간행물 정보
『행정법학』제17호, 35~87쪽, 전체 53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9,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미국 행정법상 적법절차 원리의 의미와 적용범위를 미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미연방수정헌법 제4조 및 제14조에 규정된 적법절차 조항은 자연적 정의 로서 오랜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미국 공법학의 핵심적 개념으로서 정부행위에 대한 사법적 통제의 중요한 수단으로 기능해왔다. 적법절차 조항이 미연방수정헌법에 규정되었지 만, 적법절차 원리는 헌법의 해석과 적용의 문제 이면서 동시에 행정법의 문제였다. 다시 말해, 미국 공법학에 있어서 적법절차 원리는 입법부의 법제정행위의 한계에 대한 사법심사의 척도로 기능함과 동시에 집행부의 행정작용에 대한 절차적 통제수단으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 다. 미국 공법학에서 전자를 실체적 적법절차 원리로 후자를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로 지칭하고 있다. 따라서 적법절차 원리는 이중적 의미를 가지며 적용영역과 논의 영역에 차이를 가지고 있고 동시에 헌법의 해석과 적용문제로서 위헌성 판단의 척도인 것이다. 우선 첫 번째로 본 논문은 미국행정법상 적법절차 원리의 연혁과 의미를 살펴본다. 이를 통하여, 미국의 적법절차 원리가 영국의 대헌장까지 뿌리를 두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으 며, 미국 헌법의 해석에 관한 역사적 접근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적법절차 원리의 두 가지 측면인 실체적 적법절차 원리와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의 의미를 살펴본다. 3장에서는 절차적 적법절차가 적용되기 위한 전제로서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가 적용되는 행정작용인 재결행위와 규칙제정 행위 사이의 구분기준 문제를 다룬다. 이를 통해 개별적 행정행위와 일반적 행정행위에 관한 고전적인 판례를 살펴본다. 그리고 연방대법원의 견해에 대한 검토를 통해 우리 법제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한다. 4장에서는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가 적용되는 요건을 연방대법원의 주요 판례를 통하여 살펴본다. 절차적 적법절차가 적용되는 재산권과 자유권의 의미를 살펴보고, 정부 박탈행위의 의미를 고찰한다. 재산권에 관하여는 고전적인 권리-특혜 구분론부터 이를 대체한 판례의 태도 등을 살펴본다. 자유권은 헌법상 자유권과의 관계와 평판의 이익을 살펴본다. 정부 박탈행위는 고의행위 등 여러 문제를 살펴본다. 다음으로는 적정한 절차의 의미를 고찰한다. 여기서는 제공되는 절차의 적정성과 절차의 제공시기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5장에서는 이러한 미국의 절차적 적법절차 원리가 우리 법제에 제공하는 시사점과 함께 추가적으로 비교법적 연구가 필요한 문제를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meaning and scope of due process of law principles of U.S. administrative law by means of the case of the US Supreme Court. The due process clause set out in the Constitution of U.S. Amendment have a long historical background as a natural justice and served as an important instrument of judicial control over government behavior as a core concept of U.S. public law. Although due process clause were stipulated in the Constitution of the United States,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was a matter of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 as well as of administrative law. That is to say,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in American public law serves as a measure of judicial review of the limitations of the legislative acts, as well as a procedural control of the executive functioning. In the United States Public Law, the former is referred to as the principle of substantial due process and the latter as the principle of procedural due process. Therefore, the principle of due process has a dual meaning, has a difference in the fields of application and discussion, and at the same time, it is a measure of the judgment of unconstitutionality as a matter of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the Constitution. First of all,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y and implications of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of the US Administrative Law. As a result of this study,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in the United States has a long tradition, rooted in the British Magna Carta, and studied the historical approach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United States Constitution. Next, this paper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wo aspects of the due process of law principle, those are the substantive due process principle and the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 Chapter 3 deals with the problem of the distinction between adjudication and rulemaking. This is the premise matter for the application of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 in what administrative action is to be applied for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s. This examines is to study the classic case for distinct between individual and general administrative acts. And the implications of our legislation are drawn from a review of the views of the Supreme Court. In Chapter 4, the requirements of the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 are discussed through the significant U.S. supreme court cases.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property rights and freedoms under procedural due proces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deprivation of government. Regarding property rights, this paper is to research the classic the Right-Privilege Distinction and the precedents that replaced them. The right to liberty examines the interests of reputation and relation to the freedom of the Bill of Rights. And then, this paper to research the meaning of due procedures in the course of applying the procedural due process of law. This section focuses on the adequacy, due of the procedures provided and when they are provided. Chapter 5(the final chapter of this paper) discusses the implications of these United States procedural due process principles to our legislation, as well as issues that require comparative law study.

목차

. 들어가는 말
. 미국 행정법상 적법절차의 의의와 적용영역의 문제
1. 미국 헌법상 적법절차 조항의 의미와 연혁
2. 실체적 적법절차와 절차적 적법절 차의 구분과 행정법상 적법절차의 의미
. 절차적 적법절차가 적용되는 행정작용의 문제
1. 재결과 규칙제정의 구분에 관한 판례
2. 검토 및 사견
. 연방대법원의 적법절차조항에 대한 해석과 적용
1. 논의의 대상 및 순서
2. 절차적 적법절차가 보호하는 자유및 재산의 의미
3. 정부 박탈행위의 의미
4. 적정한 절차의 의미
5. 적법절차의 제공 시기 문제
. 우리 법제에의 시사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의관(Eui-Kwan Hwang). (2019).미국행정법상 적법절차원리의 의미와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행정법학, (17), 35-87

MLA

황의관(Eui-Kwan Hwang). "미국행정법상 적법절차원리의 의미와 적용범위에 관한 연구." 행정법학, .17(2019): 35-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