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글자체 디자인(서체도안)의 저작권법상 보호

이용수 316

영문명
Protection for Typeface Designs(Font Designs) under Copyright Law -Focusing on the so-called “Sandol 02” font program case-
발행기관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자명
차상육(Cha, Sang-Yook)
간행물 정보
『계간 저작권』계간 저작권 127호(32권 3호), 91~136쪽, 전체 46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00년 개정저작권법 이래 우리 저작권법에서는 응용미술의 보호는 순수미술을 비롯하여 다른 종류의 저작물과 달리 취급할 이유가 없어졌다. 다만 응용미술의 경우 독자성 요건을 정의규성에 따라서 충족하여야 함이 요구될 뿐이고, 이러한 점은 응용미술의 일종인 글자체 디자인의 저작권법상 보호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글자체 디자인에 대해 저작권법상 보호에 대하여 종래 판례들의 소극적인 태도는 그 주된 근거를 문자만인공유론(文字萬人公有論)에 기초하고 있다고 판단된다. 대상판결도 이러한 종래 판례의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인다. 대상판결에서 설시되고 있는 글자체 디자인(서체도안) 자체의 저작권법상 보호를 부정하는 논거나 판시내용은 그 타당성 내지 정합성에 있어 의문이다. 대상판결의 태도는 2000년 개정저작권법에서의 응용미술에 대한 저작권법상 보호와 관련한 입법자의 결단과 명백히 배치될 우려마저 있다. 타이프페이스 디자인, 즉 서체도안도 법적 성격이 응용미술의 일종이라면 2000년 개정저작권법에 따라 ① 독자성 요건과 ② 창작성 요건아래 저작물성 여부를 판단해야 함이 타당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연히 서체도안이 응용미술이므로 현행 저작권법상 보호되지 않는다고 당연 해석하는 태도를 취하거나 대한방직사건의 판결 취지대로 소극적으로 보호하는 태도를 유지하는 것은 양자의 태도 모두 입법자의 의사나 결단에 일치하지 않는 법해석을 하고 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고 본다. 요컨대 글자체(typeface) 디자인에 대해서도 현행법상의 창작성 요건과 독자성 요건 등을 충족하면 저작권보호를 부여하는 것이 해석론상 마땅하다. 글자체 디자인의 저작권법상 보호문제는 폰트 프로그램의 컴퓨터프로그램으로서 저작권법상 보호하는 방안과 별개의 것이다. 글자체 디자인에 저작권보호를 부여하더라도 인간사회의 정보전달의 수단으로서의 자유로운 이용에 이바지해야 할 문자의 본질을 해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순히 정보전달에 그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응용미술저작물성을 부인할 이유가 없다. 오늘날 디지털 폰트 디자인의 다양성과 수적 증가 및 미적특성이나 장식적 특징 내지 디자인적 인상 등에 기초하여 창작된 개성적 표현에 비추어 보면, 더 이상 문자만인공유론(文字萬人公有論)의 이론적 기초는 설득력을 점점 잃고 있다고 보인다.

영문 초록

Since the Copyright Act revised in 2000, the protection of applied art has no reason to treat it unlike other works of arts, including pure art. However, in the case of applied art, it is only required to satisfy the separability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definition rules. This rules are the same for copyright protection of typeface designs(font design), a kind of applied art. It is judged that the passive attitudes of conventional precedents regarding the protection of the copyright law on the typeface design are based on the theory of public domain related with letters. The object judgments also seem to maintain the attitude of the conventional case. The judgments that negate the protection of the copyright law of the typeface design itself, which is explained in the object judgment, are questionable in their validity or consistency. The attitude of the object Judgments is even concerned with the legislator’s decision regarding the protection of copyright law on applied art in the 2000 Copyright Act. In short, an interpretation is reasonable to accept the copyright protection for typeface designs, if it meets the originality requirements and separability requirements under the current copyright act. The approach of copyright protection of typeface designs(font design) is separate from the copyright law protection as a computer program of a font program.

목차

Ⅰ. 들어가기
Ⅱ. 대상판결
1. 사안의 개요
2. 판결의 내용
Ⅲ. 대상판결의 평석
Ⅳ. 대상판결의 의의와 검토
1. 대상 판결의 의의
2. 비판적 검토
Ⅴ. 나가기
1. 글자체 디자인의 저작물성에 대한 해석론
2. 글자체 디자인의 보호범위에 대한 과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상육(Cha, Sang-Yook). (2019).글자체 디자인(서체도안)의 저작권법상 보호. 계간 저작권, 32 (3), 91-136

MLA

차상육(Cha, Sang-Yook). "글자체 디자인(서체도안)의 저작권법상 보호." 계간 저작권, 32.3(2019): 91-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