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인의 능력과 니트(NEET) 확률 간의 상관성: 대졸 청년층에 대한 분석

이용수 647

영문명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Ability and NEET Probability: An Analysis of the College Graduates
발행기관
한국경제발전학회
저자명
남기곤(Kigon Nam)
간행물 정보
『경제발전연구』經濟發展硏究 第25卷 第3號, 55~9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제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국제적으로 볼 때 한국은 청년 니트(NEET) 비율이 다른 OECD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이며, 특히 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고학력 계층에서 니트 비율이 심각하게 높은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왜 이처럼 대학 이상 고학력 청년층에서 니트 비율이 높은지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에서 조사하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우선 어떤 특성을 가진 청년일수록 니트가 될 확률이 높아지는지 결정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가정환경이 여유로운지 여부는 니트 확률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인의 능력과 니트 확률 간에는 뚜렷한 마이너스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대학을 졸업한 후 1년 6개월이 지난 1차조사 시점과 이로부터 2년 후인 3년 6개월이 지난 2차조사 시점 간 청년층의 경제활동상태의 변화 양상을 추적한 결과, 이 기간 동안 니트 비율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차조사에서 니트 상태에 있던 그룹과 2차조사에서 새롭게 니트 상태로 변화한 그룹 간에는 능력과 관련된 대부분의 변수들이 유의한 차별성을 보이지 않았다. 졸업 후 초기에 취업해 있더라도 능력이 낮은 사람을 중심으로 다시 니트로 변화하는 경향성이 존재함을 보여준다. 단순히 이들을 취업으로 유도한다고 해서 니트 문제가 해결되기는 어렵다는 사실을 본 논문의 분석 결과는 시사해준다.

영문 초록

Internationally, Korea has a higher NEET rate than other OECD countries, especially in the highly educated youth with college or higher education level. In this paper, I analyze the GOMS(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o find out why NEET rate is high in Korean college graduate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eterminants of the NEET probability shows that the variables related to family backgrounds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obability of becoming a NEET.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clear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individual ability and NEET probability. Next, I analyze the changes in the economic status of college graduates between the first survey (one year and six months after college graduation) and the second survey (three years and six months after college graduation). The NEET ratios in both surveys are nearly similar. In addition, most of the variables related to individual abilities do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NEET group in the first survey and the new NEET group in the second survey. This shows that there is a tendency to become a NEET again, especially for college graduates with low ability, even if they are employed early after gradu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NEET problems can not be solved simply by inducing them to work .immediately after graduation.

목차

국문초록
Ⅰ. 문제제기
Ⅱ. 분석 모델 및 실증분석 방식
Ⅲ. 니트 결정 요인
Ⅳ. 동태적 변화 양상
Ⅴ.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남기곤(Kigon Nam). (2019).개인의 능력과 니트(NEET) 확률 간의 상관성: 대졸 청년층에 대한 분석. 경제발전연구, 25 (3), 55-90

MLA

남기곤(Kigon Nam). "개인의 능력과 니트(NEET) 확률 간의 상관성: 대졸 청년층에 대한 분석." 경제발전연구, 25.3(2019): 55-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