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북한의 딜레마와 한반도 통일 2030

이용수 486

영문명
The North Korean Dilemma and Korean Unification until 2030
발행기관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저자명
구본학(具本學)(KOO Bonhak)
간행물 정보
『신아세아』新亞細亞 第26卷 第3號, 173~201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북한의 대내외 환경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김정은 체제가 직면해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핵 포기와 핵 보유를 둘러싼 김정은의 딜레마를 비교평가하며, 2030년경 한반도 통일환경 전망을 통해 우리의 대북정책을 제시하는데 있다. 2030년 경 김정은 체제의 대내외 여건과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을 고려할 때 김정은 체제는 더욱 공고화될 것이며, 북한은 핵을 보유한 채 미국과의 관계정상화를 위해 대화를 추구하지만, 미국은 핵을 포기하지 않는 북한에 대해 경제제재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경제발전을 약속한 김정은의 “새로운 전략적 노선”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해외개입 의지가 갈수록 약화되는 상황에서 전작권 전환과 방위비분담금 압박으로 인해 한미동맹은 약화 추세에 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및 새로운 재래식 전략무기 개발로 인해 증가되는 안보위협에도 불구하고 신세대 장병들을 비롯한 우리 국민들의 안보의식은 현재보다 더욱 약화될 것이다. 따라서, 2030년 경 한반도 통일환경은 현재보다 더욱 불리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한반도 안보환경을 고려할 때, 우리의 안보 및 대북정책은 첫째, 북한 비핵화에 정책의 최우선순위를 두고 원칙적․포괄적 합의를 추진해야 한다. 둘째, 원칙적․포괄적 합의를 바탕으로 점진적․단계적 비핵화를 이행해 나가야 한다. 셋째,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를 연계한 로드맵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여 한미동맹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북한의 전략무기를 무력화할 수 있는 킬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 및 대량응징보복전략을 조기에 완성해야 한다. 여섯째, 북한이 핵을 스스로 포기하도록 북한 민주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지원해야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ree important issues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evaluates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f the peninsula in 2030. First, it assess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Kim Jong-un regime. Second, it analyzes Kim Jong-un’s dilemma as he decides whether to give up his nuclear weapons program. Third, it offers a South Korea policy toward North Korea based on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by 2030. North Korea continues to pursue dialogue with the US for diplomatic normalization. The US, however, will mainta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refuse to recognize North Korea unless it abandons nuclear and long-range missile programs. Therefore, “the new strategic guideline” proposed by Kim Jong-un is doomed to fail. The US is losing its desire for overseas engagement, especially in the Asia- Pacific region. OPCON transfer to the South Korean military will be completed in two or three years. The US continues to pressure South Korea to increase defense burden sharing. In these circumstances, the ROK-US alliance will slowly and steadily deteriorate. Security concerns of next-generation soldiers and the South Korean public will decrease gradually. Therefore, the unification environment by 2030 will be much more unfavorable to South Korea than it is now. To achieve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aper suggests: first, South Korea and the US put their first policy priority on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econd, they have to implement denuclearization measures with step-by-step efforts; third, they must prepare a roadmap for a peace system on the peninsula related to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fourth, they should strengthen the alliance system; fifth, South Korea must increase military preparedness against North Korea by completing as early as possible such military programs as the Kill-chain, KAMD, and KMPR; finally, South Korea must support democratization of North Korea to get it to abandon its nuclear program by itself.

목차

Ⅰ. 서론
Ⅱ. 북한의 대내외 환경 평가
Ⅲ. 북한의 딜레마: 핵보유 vs 핵포기
Ⅳ. 2030년 한반도 통일여건 전망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본학(具本學)(KOO Bonhak). (2019).북한의 딜레마와 한반도 통일 2030. 신아세아, 26 (3), 173-201

MLA

구본학(具本學)(KOO Bonhak). "북한의 딜레마와 한반도 통일 2030." 신아세아, 26.3(2019): 173-20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