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고대 시조신화를 통해 본 성별관계와 권력관계의 상관성

이용수 144

영문명
The Interrelatedness of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 as Seen through the Founding Myths of Ancient Korean Kingdoms - a Comparison between Shilla and Goguryeo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현정(Kim Hyeon-Jeon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0輯, 91~135쪽, 전체 4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8,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국가 시조신화에 반영된 신라와 고구려의 성별관계와 권력관계를 살펴보고, 그 연관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 시조신화 내용에서 성별관계와 권력관계, 여성관과 타인관은 상호 긴밀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신라의 시조신화에서는 출현시기와 상징성에 있어서 왕인 혁거세와 왕비인 알영의 신격수준이 거의 동등한 수준으로 묘사되어 있었다. 이는 신화기록상 혁거세 출현 이전에 선주하고 있었던 6촌장에게도 신성을 인정하는 것으로 연결되었다. 경주 동쪽 지역에서 발견된 3기의 비석에는 6세기 초반까지 신라 6부의 장들이 왕과 함께 통치주체세력으로서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이 시조신화에 6촌장들의 천손신화가 포함되게 한 배경으로 작용했다고 한다면, 시조신화에서 알영의 위상 역시 신라 지배층 여성의 역사적 실재 지위를 반영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비해 고구려의 경우, 시조신화 상 여성주인공격인 유화는 첫 등장부터 권력관계로서의 젠더관계, 즉 주체로서의 남성과 객체로서의 여성이라는 관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었다. 또한 유화는 지상계에서 인간들을 처음으로 마주할 때 이미 엄한 아버지 하백으로부터 받은 징벌의 흔적을 낙인처럼 지닌 채 손상된 신격을 보였다. 어머니 유화의 발휘되지 못한 신성성에도 불구하고, 주몽은 신성혈통을 증명하듯 신이한 옆구리 탄생-난생-급속 성장-출중한 재능 발현을 거쳐 성장한 후 영능의 힘으로 부여를 탈출하는 모습을 보였다. 신성함을 표출하는 데 있어 이러한 성별간의 비대칭적 관계는 신화에서 해모수와 하백, 주몽과 송양왕 관계에서도 드러났다. 각자의 신성함의 정도는 객관적인 능력의 나열이 아닌, 경쟁적인 대결의 행위 속에서 명확한 승자와 패자로 서열화 되어서 표현되었다. 상호관계에 있어서도 신라와 고구려의 신화 내용은 다른 점을 보였다. 신라의 경우, 상호협력관계가 특징이었다. 알영은 혁거세와 함께 분업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공동통치를 수행하였고, 혁거세 알영과 선주민은 양육과 선정(善政)이라는 도움을 서로 받으며 공생의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었다. 고구려 시조신화에서의 상호관계는 높은 긴장도가 특징이었다. 유화는 해모수-하백-금와에 의해 연속적으로 유린되는 삶을 살게 되는데, 그 배경적 원인은 부여의 가부장제라고 할 수 있었다. 유화가 신으로서의 위상을 회복할 수 있었던 것은 주몽의 위기 극복 과정에서 보여준 결정적 조력자의 역할 때문이었다. 유화는 살해의 위협을 받는 주몽에게 탈출을 종용하였고, 주몽이 새로운 땅에서 성공적으로 시작할 수 있도록 비둘기를 통해 곡물 종자를 전해주었다. 이 행위를 통해 유화는 모성의 상징이자 생명과 풍요(다산)의 신이라는 위상을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유화의 유린당하는 전반기의 삶이나 신으로서의 위상을 발휘하는 후반의 삶 모두 남성 가족에 기인한 것이었다. 이러한 유화의 종속적 존재가치는 남성에게 편중된 성별 권력관계를 반영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주몽과 고구려 선주민집단 사이에서도 긴장적 경쟁관계가 나타났다. 신화 줄거리상 주몽에게 주변세력과의 평화로운 공존은 염두에 없는 듯 보였다. 새롭게 정착한 고구려에서 주몽은 무력을 통하여 주변세력을 통합해 나갔다. 이는 ‘이주해 온’ 새로운 지배자인 자신의 통치에 대한 선주민들의 순응도를 높이려는 의도로 파악된다. 결론적으로 신라의 시조신화에서 알영과 혁거세의 비교적 동등한 성별관계는 신라 지배집단 내부의 느슨한 차별관념, 그리고 전쟁을 지양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고구려 시조신화에서 일방적으로 유린당하다가 극적으로 신격화 되는 유화의 모습은 부여의 왕실 일부 세력과 주몽이 보여준 적대적 관계, 그리고 고구려왕 즉위 이후 주몽이 실행한 긴장도 높은 정복활동의 태도와 관련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 of Shilla and Goguryeo as reflected in their founding myths, and to confirm the interrelatedness between them. The study showed that gender relations and power relations-as well as the view of women and the view of the other-as reflected in the contents of the founding myths were closely interrelated. In the founding myths of Shilla(新羅), King Hyeokgeose(赫居世) and Queen Alyoung(閼英) were deified to largely similar degrees in their portrayals in terms of symbolism and date of appearance. In mythological records, this is connected to how deity status was also conferred to the chieftains of the six clan society villages called ‘Yuk-Chon(6村)’, who predated the arrival of Hyeokgeose. The records on the three steles that were discovered in the Eastern part of Gyeongju show that along with the king, the leaders of the six political units called ‘Yuk-Bu(6部)’ were also recognized as ruling powers up until the early 6th century. If this historical fact provides the background against which the myth of the heavenly provenance of the 6 chieftains were included in Shilla’s founding myth, Alyoung’s status in the founding myth maybe regarded as reflecting the actual historical status of women among the ruling class of Shilla. In contrast, starting from her very first appearance, the treatment of the female protagonist of Goguryeo(高句麗)’s founding myth, Yuhwa(柳花), is blatantly indicative of gender relations as a power relation - with the male as the subject and the female as the object. Furthermore, even when she first came into contact with earthly people, Yuhwa’s divinity was portrayed as being damaged due to the stigma-like vestige of the punishment she received from her harsh father, Habaek(河伯). Despite the failed manifestation of his mother’s divinity, Jumong(朱蒙) performs various heroic feats that appear to demonstrate his divine lineage-such as hatching from an egg laid from his mother’s flank, accelerated growth, extraordinary talent, and his escape from Buyeo by virtue of his supernatural power. This gender asymmetry in how divinity is manifested in the myths is also apparent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Haemosoo(解慕漱) and Habaek, and Jumong and King Songyang(松讓). The degrees of divinity of each of these figures were not expressed as enumerations of objective abilities but as clear distinctions between winners and losers amid acts of rivalrous conflict. The contents of the myths of Shilla and Goguryeo also differ in terms of mutual relationships. Shilla was characterized by relationships of mutual cooperation. Alyoung did co-rule with Hyeokgeose in what is presumed to be a division of duties. Also, Hyeokgeose and Alyoung had a cooperative relationship of co-existence, exchanging help in the form of nurturing and good rule, with the original residents represented by 6 chieftains. Mutual relationships in Goguryeo’s founding myths were characterized by high tension. In the course of her life, Yuhwa was sequentially violated by Haemosoo, Habaek, and Geumwa. The patriarchy of Buyeo may be regarded as the background reason for this. The opportunity for Yuhwa to recover her divine status amid her woeful state arrives via Jumong’s quest to overcome his crisis. Yuhwa urges Jumong, who was being threatened with assassination, to escape. She also sends him grain seeds by way of pigeons so that he might have a successful start in a new land. It is through such actions that Yuhwa gained her status as a maternal symbol and a deity of life and fertility. However, both the violation in the earlier half of her life and the divine status in the latter half of her life are attributable to the male family. Thus, the dependent value of Yuhwa’s existence may be regarded as reflecting male-centric gender rela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신성성(神聖性)의 격차
Ⅲ. 상호관계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정(Kim Hyeon-Jeong). (2019).한국 고대 시조신화를 통해 본 성별관계와 권력관계의 상관성. 선사와 고대, 60 , 91-135

MLA

김현정(Kim Hyeon-Jeong). "한국 고대 시조신화를 통해 본 성별관계와 권력관계의 상관성." 선사와 고대, 60.(2019): 91-1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