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최근 북한 학계의 고인돌 형식 연구 경향

이용수 130

영문명
The Recent Research Trend of Dolmen Type in North Korean Academia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하문식(Ha Moon-Sig)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先史와 古代 60輯, 5~29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지금까지의 고인돌 형식 분류에 대한 기준과 방법에 관하여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한 북한 학계의 최근 연구 성과를 소개한 것으로 북한지역 고인돌의 형식과 변천 그리고 연대문제를 검토해 보았다. 고인돌의 형식 분류에 있어 돌깐시설(돌무지)을 기준으로 유형을 나눈 기존의 방식은 비합리적이다. 상원 왁새봉 고인돌과 황주 극성동 고인돌 유적처럼 하나의 돌무지 묘역 안에 여러 종류의 무덤방이 축조되었고 묻기가 서로 차이가 나는 경우도 있다. 돌무지 시설은 무덤방의 축조에 이용된 얇은 판자돌이 덮개돌의 하중을 지탱할 수 없기 때문에 이러한 보조시설이 필요하였을 것이다. 고인돌의 형식은 무덤방의 축조 방식, 벽의 구조와 벽체의 재질을 1차 분류 기준으로 설정하여 침촌형, 오덕형, 묵방형, 석천산형, 제주형 등으로 나누었다. 침촌형은 판자돌을 가지고 무덤방을 축조하였으며 가장자리에 돌무지의 보강 시설이 있다. 이 형식은 판자돌의 재질에 따라 3가지로 구분된다. 오덕형은 판자돌을 지상에 세워 만든 탁자식으로 문 시설을 기준으로 3가지로 나누었다. 묵방형은 막돌을 가지고 지하에 무덤방을 축조한 개석식이다. 문 시설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였는데 기존 연구와는 변천 과정에 있어 차이가 있다. 석천산형은 무덤방이 토광으로 석천산 일대에서 주로 조사되었다. 제주형은 덮개돌 아래쪽의 가장자리를 돌아가면서 판자돌을 세워 무덤방을 만든 것으로 남부지역에서 만 찾아지는 독특한 형식이다. 고인돌 형식간의 변천 관계에 대하여는 침촌형에서 오덕형과 묵방형이 분화되었고 석천산형은 묵방형이 변화된 것이라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고인돌의 축조 연대는 전자스핀공명연대측정법, 열형광연대측정법, 핵분열손상연대측정법에 의한 절대연대 측정값에 따라 기원전 4천년기 후반으로 여기고 있지만 앞으로 연대측정 값에 대한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ntroduces the results of recent research that has raised some questions about the standards and methods of the classification on dolmen types. On the basis of this study, the types, changes and the period problems of dolmen in North Korea are analyzed. It is irrational to refer to the stone mound as a standard in the classification of dolmen types. There are several types of grave pits built in a single cemetery like the remains of Sangwon Waksaebong and Hwangju Geukseong-dong dolmen, which are also different in the method of burial. The stone mound facility would have been necessary to support the load of the cap stones. The forms of dolmens are divided into types such as Chimchon-type, Odeok-type, Mukbangtype, Seokcheonsan-type and Jeju-typ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rave pit, the structure and the material of the wall. Chimchon-type built grave pits with plank stones and has the reinforcement facility of stone mound on the edge. This type i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material of the plank stone. Odeok-type is the table-type dolmen built with plank stones on the ground and is divided into three types according to the facilities of the gate. Mukbang-type is a pit-type which built grave pits in the underground. The type has been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facility of the door and is a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the previous studies. Seokcheonsan-type is a pit and mainly examined in the Seokcheonsan area. The grave pit of the Jeju-type is made with a plank stone at the bottom of the cap stone. On the transition of dolmens types, it is suggested that Chimchon-type is divided into Odeok-type and Mukbang-type and Seokcheonsan type is changed from Mungbang-type. The age of the dolmens is considered to be in the late 4th millennium B.C.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of absolute age by the electron spin resonance dating method, thermoluminescence dating method and nuclear fission track dating method.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고인돌의 형식 분류 문제
Ⅲ. 고인돌의 형식 분류와 변천 관계
Ⅳ. 북한지역 고인돌의 형식 변천과 연대 문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하문식(Ha Moon-Sig). (2019).최근 북한 학계의 고인돌 형식 연구 경향. 선사와 고대, 60 , 5-29

MLA

하문식(Ha Moon-Sig). "최근 북한 학계의 고인돌 형식 연구 경향." 선사와 고대, 60.(2019): 5-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