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남창가곡에서 파생된 여창가곡의 형성원리

이용수 415

영문명
The Principle for Forming Female Part of Gagok Orienting from Male Part of Gagok - Centering on the characteristics based on range -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이정민(Lee, Jeong-Min)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9집, 275~30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행 가곡은 남창 26곡ㆍ여창 15곡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창가곡은 여창에서만 부르는 <환계락>을 제외한 14곡이 남창가곡과 곡명이 같다. 이 논문은 남창에서만 부르고 여창에서는 부르지 않는 곡에 대한 이유를 살펴본 글이다. 먼저 가곡의 발생 과정에서 여창가곡은 남창가곡의 선율을 옥타브 올려 부른데서 출발하였을 것이라는 가정을 토대로, 수용된 여창 선율과 남창 선율을 비교하여 알아보았다. 골격선율은 노랫말이 붙는 음, 시가가 긴음, 중요한 장식음을 기준으로 추출하였고, 그 결과 남창가곡과 여창가곡은 대체로 옥타브 관계이며, 경우에 따라 초장ㆍ3장ㆍ5장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여창에서 반복된 선율에 음을 첨가하거나 4도ㆍ5도, 상ㆍ하행 선율을 바꾸는 등으로 계면조 악곡이 우조 악곡에 비해 선율 변화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같은 여창 형성의 원리를 바탕으로 비수용 악곡이 여창으로 채택되지 않은 이유가 음역의 문제 때문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창의 선율을 한 옥타브 높인 가상의 여창 선율을 만들고, 이의 음역을 분석하여 여창으로 노래 부르기에 부적합한 요소가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가상의 여창 골격선율은 대부분이 속목의 범위이고, 여창의 음역을 넘는 음이 초장에 몰려있으며, 여러 개의 음을 모두 속목으로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음역의 문제가 되지 않는 <초삭대엽>과 <우롱>은 남창에서만 부르는 악곡의 기능 때문에 수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끝으로 남ㆍ여창 수용 악곡의 비교 과정에서 발견되는 음역 이외의 문제로, 남창 <평거>와 <평롱>은 보통의 음높이로 노래를 시작하는데, 여창에서는 속목으로 높게 부른다. 악곡 명칭에서 ‘평’을 ‘낮다’라는 의미로 이해하는 것은 남창에만 적용되는 것이고, 여창에는 적용되지 않는 명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Gagok is a lyric song cycle that consists of 26 male songs and 15 female songs. All of the female parts of gagok are named exactly the same as the male parts, except for Hwangyerak, which is only sung by female singers. This article examines the reason why some songs are only sung by male singers and not by the female singers. First of all, the female melodies and the male counterparts are compared on the premise that female gagok are an octave higher than the male songs. A frame melody is extracted on the standard of notes that had lyric additions, notes with a long time value, and important grace notes. As a result, male gagok and the female counterparts are generally in relation of octaves. On some cases, the initial, third and the fifth chapters show some differences by adding notes to repetitive melodies in female gagok as well as changing the upward or downward melody. Gyemyeonjo songs show greater melodical change than ujo songs. On the foundation of formation principle of female gagok, a question was raised to see whether the deleted songs were not chosen for female songs because of the issues in range. In order to test this hypothesis, an artificial female song was created by raising it an octave from an existing male gagok, and the song was examin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ere some inappropriate elements for it to be sung by female singers. The frame melody of the artificial female gagok was mostly in a falsetto range, which was found to be difficult to sing. The reason for the exclusion from female gagok of Chosakdaeyup and Urong is thought to be in the fact that the songs serve an exclusive function formed by male singers. Finally, issues found in the comparison process of male and female included songs other than the range is that the male gagok songs Pyeonggeo and Pyeonglong begin with an ordinary pitch while female singers sing them in falsetto.

목차

Ⅰ . 머리말
Ⅱ . 가곡 선율의 분석․연구방법
1. 골격선율의 추출방법
2. 골격선율 그래프 표기방법
Ⅲ . 남․여창가곡 선율의 음역에 따른 특성
1. 수용 악곡에서 본 남ㆍ여창의 관계
2. 비수용 악곡의 음역에 따른 특성
Ⅳ .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민(Lee, Jeong-Min). (2019).남창가곡에서 파생된 여창가곡의 형성원리. 국악원논문집, 39 , 275-306

MLA

이정민(Lee, Jeong-Min). "남창가곡에서 파생된 여창가곡의 형성원리." 국악원논문집, 39.(2019): 275-30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