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무동과 악공의 재조명

이용수 326

영문명
Renewal of the Examination of Joseon-era Boy Dancers and Musicians
발행기관
국립국악원
저자명
김종수(Kim, Jong Su)
간행물 정보
『국악원논문집』제39집, 145~17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음악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무동 제도는 1432년(세종 14)에 10세 전후의 남자아이 60명을 선발하여 춤과 노래를 가르쳐, 1433년 (세종 15) 정월 회례연에서 <오양선>·<아박>·<무고>·<몽금척> 정재를 연행하게 한 것이 시발점이다. 무동제도는 여악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므로, 성인 남자의 골격이 나타나기 시작하는 15세가 한계점이었다. 즉, 활동 연한이 10대 초반으로 한정된다는 것이 무동제도의 큰 어려움이었다. 10세전후의 아이가 재주를 이루어 쓸 만하면 곧 성년이 되어 새로 아이를 선발하여 다시 교육시켜야하기 때문이다. 2000년에 이윤정이 연향 관련 의궤를 분석하여, ‘조선후기는 전기처럼 성년이 된 무동을 악공으로 이속시키기도 했지만, 전기와 달리 악공으로 먼저 활동하다가 후에 무동으로 활동하기도 하고, 무동과 악공의 역할을 겸하기도 했는데, 무동과 악공의 역할을 겸한 경우가 제일 많다’라는 결론을 도출했고, 이 결론은 다른 연구자들의 저서나 논문에 인용되었다. 그러나 이윤정은 가면을 쓰고 추는 <처용무>와 무구(舞具) 운반은 악공 소관임을 간과하여, <처용무> 연행자와 포구문과 무고 운반자까지도 무동으로 편입시켜 분석하는 실수를 범했으므로, 그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따라서 조선시대 및 대한제국 시기의 연향 관련 의궤를 새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무동으로 활동하다가 악공으로 이속된 자로 강창성·김호풍·이득순·이만수·이업룡·이흥문·차홍신·황용운·이용진·함순길 등 10명, 악공에서 무동으로 차출되어 활동한 자로는 김형식·박경복·박호길·서용범·이명길·이수동·이용식 등 7명으로 나타났다. 즉, 조선후기도 전기와 마찬가지로 ‘무동이 성년이 되면, 재주 있는 자는 악공으로 이속시키고 그렇지 못한 자는 본 역(本役)으로 돌려보내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악공에서 무동으로 차출되어 활동한 자의 수도 꽤 되는데, 그 이유는 활동기간이 짧은 무동은 태생적으로 정원을 채우는 것이 힘들었으므로, 때로는 나이 어린 악공 중에서 무동으로 차출하여 썼기 때문이다. 물론 이들은 1~2년 무동 역할을 하다가 다시 본업인 악공으로 돌아갔다. 무동의 활동기간이 대략 5년 전후인 것에 비해, 악공은 전악(典樂)에 이르기까지 많게는 50~60년이 걸릴 정도로 복무기간이 길기 때문이다. 한편, 조선시대 악공의 활동으로는 음악연주 외에 춤도 있었다. 우선 풍운뇌우·사직·문묘·선농·선잠 및 종묘·경모궁·둑제 등 모든 제례의 춤은 악공의 고유 영역이었다. 연향에서도 ‘외연에 무동을 쓰는 제도’가 시행되는 기간에 외연에서는 아악이나 속악 구분 없이 문덕과 무공을 형상한 장중한 춤은 앳된 모습의 무동이 아니라 악공이 추었고, <처용무>처럼 탈을 쓰고 추는 춤 또한 앳된 모습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악공이 담당했다.

영문 초록

The Joseon-era boy dancer system was initiated when sixty 10-year-old or so males were selected in 1432 to be taught how to dance and sing. They then performed royal dance/music for the narrative songs Oyangseon, Abak, Mugo, and Monggeumcheok at the January royal feast in 1433. The boy dancer system aimed to replace female dancers; an age limit of 15 (when children typically take on adult characteristics) was set for the boy dancers. Thus, their activities were limited to the early teens, making it very difficult to sustain the boy dancer system because early-teen boy dancers, even if talented, soon became adults so new candidates had to regularly be recruited and educated. In a 2000 study, Lee Yun-jeong analyzed rite records of royal feasts. She reported that in both the first and second halves of the Joseon era, adult boy dancers transferred to the role of musician. However, only during the later period, musicians transferred to the role of boy dancer, or play the role of both boy dancers and musicians. This conclusion has been quoted in other researchers’ books and papers. Lee Yun-jeong, however, overlooked the fact that Cheoyongmu (a type of masked dance) and the conveyance of relative dance equipment were performed by musicians. Specifically, Cheoyongmu performers included the dancers as well as the carriers of the Pogumun (a door with a hole into which a ball is thrown while dancing), all comprised of a group of boy dancers. Thus, it can be claimed that Lee drew erroneous conclusions in her research. This study newly analyzed the rite records of the royal feasts of the Joseon era and the Korea Empire. It determined that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era, like the first half, boy dancers, when becoming adults, were generally incorporated into the group of musicians if talented, and otherwise were returned to their original role. Quite a number of musicians were selected as boy dancer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fill the required quota of short-lived boy dancers, so boy dancers were selected out of young musicians. They, of course, acted as boy dancers for only one to two years, after which they returned to their original job of musicians. Compared to boy dancers maximum activity period of five years, musicians could serve up to 50-60 years in areas including royal court music (Jeonak 典樂 ). Further, Joseon musicians performed not only music but also dancing. All sacrificial rites-related dances were exclusively performed by musicians. During the period when the system of using boy dancers in external (royal) feasts was implemented, musicians, not boy dancers, performed magnificent dances celebrating civil virtues and military achievements, regardless of traditional royal music and popular music. Mask dances such as Cheoyongmu were performed by musicians not by childlike-looking dancers.

목차

Ⅰ 머리말
Ⅱ 기존 무동 연구에 대한 검토
1. 무동으로 활동하다가 후에 악공으로 활동한 유형의 검토
2. 악공으로 활동하다가 후에 무동으로 활동한 유형의 검토
3. 무동과 악공으로서의 활동시기가 중복된 유형의 검토
Ⅲ 무동과 악공의 재조명
1. 무동과 악공의 관계
2. 악공의 또 다른 역할 : 춤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수(Kim, Jong Su). (2019).조선시대 무동과 악공의 재조명. 국악원논문집, 39 , 145-175

MLA

김종수(Kim, Jong Su). "조선시대 무동과 악공의 재조명." 국악원논문집, 39.(2019): 145-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