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정(Correction)자원봉사 체험에 관한 연구 - 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 경험을 중심으로 -

이용수 104

영문명
A Study on the Experience of Correction Volunteering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of released prisoners -
발행기관
한국교정복지학회
저자명
조희원(Cho, Hee‐ won) 도광조(Do, Gwang‐ jo)
간행물 정보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60號, 149~204쪽, 전체 5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9,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상학적 연구방법 중 참여자의 체험에 대한 심층적 탐구와 문학, 예술 작품 및 어원의 탐구 등 다양한 자료를 함께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밴 매넌(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방법을 사용하여 범죄전력자들의 온전한 사회복귀를 지원하는 교정자원봉사자들의 출소자 채용 및 생활지도 체험의 의미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범죄자의 성공적 자립을 위한 사회 구성원의 자원 봉사활동인 교정 자원봉사체험의 본질이 어떠한지를 탐구하여 출소자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 변화, 나아가 교정자원봉사제도, 형사정책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하는 것이 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질문은 “교정자원봉사자의 체험(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은 어떠한가?” 로 상정하였다. 참여자의 면담내용을 밴 매넌의 자료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6개의 본질적 주제와 19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6개의 본질적 주제는 참여자의 진술과 문학작품, 어원 등을 참고하여 도출하였으며, 그 내용은 ‘동상이몽의 첫 단추’, ‘몸부림과 고슴도치 사랑’, ‘아름다운 동행’, ‘풍성한 가을’, ‘뜻밖에 발견한 나의 뒷모습 ’, ‘나의 변화가 타인 변화의 씨앗’ 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범죄전력자(출소자)를 고용한 경험이 있는 고용주들 상호 경험을 공유하고 정보전달을 할 수 있는 자조집단을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범죄전력자(출소자)들의 취 업지원 고용 촉진을 위한 통합 사례관리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셋째, 출소자 고용주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출소자 고용환경 및 요구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넷째, 출소자 고용주들의 ‘성찰’ 경험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역량 강화를 위한 맞춤 형 교육이 필요하다. 다섯째, 출소자 고용주들 간에 출소자 채용 및 생활지도 업무 절차(기준)를 마련하여 출소자 채용에 따른 상황별 대응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여섯째, 출소자의 취업프로그램 과정에서 인성교육 및 대인관계프로그램 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곱째, 범죄 전력자에 고용촉진을 위한 지원 제도(법령)가 필요하다. 여덟째, 출소자 채용 및 생활지도의 필요성에 대한 대국민 인식개선을 위한 스토리텔링기법의 홍보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van Manen s hermeneutical methodology, which is characterized by analysis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in-depth exploration of experience of participants, and exploration of literature, artworks, and etymology among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s, and investigated the significance of correction volunteers experience of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to support the complete social return of released priso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ature of the experience of correction volunteering, which is a volunteer activity of the members in society for the successful independence of criminals, to suggest changes in the perception of our society on released prisoners, and further to make suggestions on correction volunteering system and criminal policy. To achieve th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 was posited as What is the experience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of released prisoners) of correction volunteer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participants interviews using van Manen s data analysis method, six essential themes and 19 subthemes were derived. The six essential themes were derived from referring to the participants statements, literary works, and etymology, and the contents were the first button of together but thought differently , the struggle and the hedgehog s love , the beautiful accompaniment , the rich autumn , my backwardness that I discovered unexpectedly , and my change is the seed of change of others .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practical suggestions are made. First, there is a need to run a self-help group that can share information and communicate information to employers who have experienced hiring released prison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tegrated case management system for employment support and employment promotion of released prisoners. Third,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environment and their needs, focusing on those with experience of employing released prisoners. Fourth, to increase the reflection experience of employers of released prisoners, customized education is needed to strengthen competencies. Fifth, it will be necessary to establish a situation-specific response strategy based on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by establishing working procedures (standards) for the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of released prisoners between employers of released prisoners. Sixth, it is necessary to add personality education and interpersonal programs in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program. Seventh, it is necessary to have a support system (law) for the employment promotion of released prisoners. Eighth, it is necessary to promote storytelling techniques to improve public awareness of the need for released prisoners employment and life guida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과정
Ⅳ. 연구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희원(Cho, Hee‐,won),도광조(Do, Gwang‐,jo). (2019).교정(Correction)자원봉사 체험에 관한 연구 - 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 경험을 중심으로 -. 교정복지연구, (60), 149-204

MLA

조희원(Cho, Hee‐,won),도광조(Do, Gwang‐,jo). "교정(Correction)자원봉사 체험에 관한 연구 - 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 경험을 중심으로 -." 교정복지연구, .60(2019): 149-2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