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214
- 영문명
-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Media Addiction in Local Children s Center: Focused on Depression Mediated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교정복지학회
- 저자명
- 이상주(Sang Joo Lee) 김정훈(Joung Hoon Kim)
- 간행물 정보
- 『교정복지연구』矯正福祉硏究 第60號, 101~12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6.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미디어 중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미디어 중독과의 관계에서 우울이 가지는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미디어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지역아동센터
중앙지원단의 아동패널조사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된 통계량은 아동패널조사 2기 4차 43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
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지지, 우울, 미디어 중독과의 상관관계를 자세하게 살펴보면, 지역아동센터의 아동에서 우울은 가족지지, 미디어 중독과 정적으로 유의하고, 학교지지와 친구지지는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여
주었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미디어 중독간의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친구 지지와학교 지지는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가족 지지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었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media addiction among children at the local children s center, this study tried to verify the social support of children and the mediated effect of depression in relation to media addiction to find
out the effect on media addiction. The subjects were measured using the Children s Panel Survey of the Central Support Group of the Local Child Center. The statistics used were of 438 children in the second phase of the
Children s Panel Surve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with correlation and regression to verify hypotheses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rogram. In summ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f you look at th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media addiction in detail, in children of local children s centers, depression showed family support, media addiction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and school support and friend support showed a negative significance. Second, in the verification of the mediated effect between the social support and media addiction of children in the local children s center, the support of friends and support in schools had a full-scale effect, and the support of families had a partial wholesale effec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의 해석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념적 측면에서 6호 처분(기관)의 독창적 개선방안
- 矯正福祉硏究 第60號 목차
- 온·오프라인 학교폭력 피해 경험과 고민 상담자 유무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부모방임인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성인용매체몰입의 매개효과
- 지역아동센터 아동의 사회적 지지가 미디어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부조화가 노인학대인식에 미치는 영향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 교정시설 내 수용자를 위한 AI변호사 도입에 관한 연구
- 학교폭력 문제 해결을 위한 접근 전략: 예방과 초기 개입 단계를 중심으로
- 교정(Correction)자원봉사 체험에 관한 연구 - 출소자 고용 및 생활지도 경험을 중심으로 -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