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進茶禮硏究

이용수 124

영문명
A Study of J inda Ceremony
발행기관
국제차문화학회
저자명
이창기(Lee Chang Ki) 양애란(Yang Ae Ran) 천용순(Cheon Yong Soon) 박희선(Park hee seon)
간행물 정보
『차문화산업학』제44집, 101~13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우리의 차문화는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전통문화 속에 민족적 정서를 형성하는 요소 중 하나로 변천해 왔다. 신라시대의 다례는 종묘의 다례와 불전의 헌다의례, 화랑도의 풍류도를 형성하는 기저사상을 바탕으로 행해졌다. 고려시대의 다례는 국가행사에 국가대전의식(國家大典儀式)으로서 차를 올리는 진다의식(進茶儀式)이 거행되었으며 궁중다례의 엄숙하고 장엄함을 갖추었음을 알 수 있다. 조선시대의 다례는 차를 진다하는 의식의 한 부분으로 사신을 영접하기 위한 다례와 궁중의 연회다례 등의 형태로 나타나 있음을 문헌 고찰을 통해 살펴보았다. 우리 조상들은 차를 마시며 차 생활의 일상화를 중요시 하였다. 이는 차 생활을 통한 정신세계의 중요성 때문이다. 우리는 전통문화를 계승하는 주체적 자각을 통해 차 생활에서 전통적 의미를 이어가는 것이 중요하다. 다도는 우리의 전통적인 사상, 역사, 종교,철학을 배경으로 한 총체적 문화로서 급변하는 현대사회에서의 정신적 문제점을 차의 진다의식을 통해 풀어볼 수 있게 하는데 이 연구의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Korean tea culture has developed as one of the elements which form the national spirit in our traditional culture through our long history. Da-lye at Silla age was held on the basis of Jong-myo Da-lye, the Heon Da-lye offering manner to Buddha in Buddhism, and basic thoughts forming Pungryudo of Hwarangdo. In Goryeo period, ‘Da-lye’ was held for the national ceremonies as J in-da ceremony, and it showed gravity and majesty of the Royal tea manner. Da-lye’ in Chosun age was a part of tea J inda ceremony. This paper studied through literatures that this J inda ceremony was held to welcome foreign envoys and to give Banquet of court. Our ancestors layed emphases on tea life for mental training. So, it is important to continue traditional meaning from tea life by succeeding traditional culture and independent awakening. As we considered ‘Da-lye’ in our history through the culture of tea, the reason why our ancestors enjoyed and emphasized the tea life was training the mental thought through the tea manners. Therefore it would be important to maintain the traditional meaning in tea life with spontaneous insight in succeeding Korean traditional culture. In this study there’s a meaning that ‘Da-do’ is the holistic culture which has the backgrounds of the traditional thought, history, religion and philosophy, and by this tea ceremonies we can get solutions about the realistic problems in abruptly changing society.

목차

Ⅰ. 서 론
Ⅱ. 진다례의 전개과정과 의식
Ⅲ.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기(Lee Chang Ki),양애란(Yang Ae Ran),천용순(Cheon Yong Soon),박희선(Park hee seon). (2019).進茶禮硏究. 차문화산업학, 44 , 101-130

MLA

이창기(Lee Chang Ki),양애란(Yang Ae Ran),천용순(Cheon Yong Soon),박희선(Park hee seon). "進茶禮硏究." 차문화산업학, 44.(2019): 101-1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