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구이(九夷)로 떠나는’ 혹은 ‘구이에 오시는’ 공자를 둘러싼 화이(華夷) 개념의 변주

이용수 69

영문명
발행기관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저자명
이경구
간행물 정보
『태동고전연구』제42집, 9~3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구이(九夷)에 대한 공자의 말은 다양하게 읽혔다. 오랑캐를 배척하는 모습으로 해석되거나 반대로 고귀한 오랑캐를 인용하여 중국을 비판하는 의미로 해석되었다. ‘구이로 떠나겠다’는 말은 후자를 대표한다. 그러나 ‘구이로 떠나는 공자’는 조선에서는 ‘구이에 오시는’ 모습으로 역전되었다. 14세기 이후 지식인들은 ‘기자가 조선을 교화했다’는 옛 전설과 ‘공자가 오시고 싶어했다’는 말을 연결하여, 조선이 오래 전부터 문명화된 곳이었음을 증명하였다. 18세기 노론 학계에서는 또다른 변용이 있었다. 노론의 한 갈래였던 호론에서는 조선을 특수화하는 이론을 구축하였다. 한원진은 공자가 ‘동쪽’으로 오고자 했음을 강조하며 조선만이 문명이 될수 있고, 서북 지역의 오랑캐 – 암묵적으로 만주족 – 들은 원천적으로 문명화될 수 없다고 보았다. 낙론은 달랐다. 서종화는 덕성이란 점에서는 중화와 오랑캐의 구분이 무의미하다고 주장하였다. 홍대용은 오랑캐와 중화의 상호인정을 촉구하였다. 마침내 그는 ‘동쪽으로 떠나는 공자’를 ‘서북으로 떠나는 노자’와 연결하여, 사상과 지역에 구애받지 않는 보편 평등을 강조 하였다.

영문 초록

Confucius’ words on Gu-Yi(九夷, nine barbarians in the east) were read variously. They were interpreted as the rejection of barbarians, or on the contrary, as criticism of China by quoting the noble barbarians. The word ‘leaving for Gu-Yi’ represents the latter. However, in Joseon, ‘Confucius who will leave for Gu-Yi’ was reversed to ‘Confucius who will come to Gu-Yi’. Since the 14th century, the intellectuals have proved that Joseon had long been a civilized place by connecting the old legend of ‘Gija(箕子) enlightened Joseon’ with ‘Confucius wanted to come’. In 18th century Noron academia, there were another variations. Horon(湖論, a branch of Noron) built a theory of specializing Joseon. Emphasizing that Confucius’ coming to ‘east’, Han Wonjin argued that only Joseon could be a civilization, and that the barbarians of the north and west - implicitly Manchurians - could not be civilized at all. Nakron(洛論) were different. Seo Jonghwa argued that the distinction between the civilized and barbarian was meaningless in the sense of virtue. Hong Daeyong urged mutual recognition of the civilized and barbarian. Finally he linked ‘Confucius leaving for east’ with ‘Laotzu leaving for north and west’, emphasizing universal equality regardless of thought and region.

목차

1. 서론
2. 공자의 화이 인식
3. ‘구이(九夷)’에 대한 해석
4. 호론과 낙론의 구이(九夷) 인식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구. (2019).‘구이(九夷)로 떠나는’ 혹은 ‘구이에 오시는’ 공자를 둘러싼 화이(華夷) 개념의 변주. 태동고전연구, 42 , 9-32

MLA

이경구. "‘구이(九夷)로 떠나는’ 혹은 ‘구이에 오시는’ 공자를 둘러싼 화이(華夷) 개념의 변주." 태동고전연구, 42.(2019): 9-3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