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원전 7세기 중반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와 고조선의 위상

이용수 162

영문명
Old Chosun in Northeastern Asia in the mid-Seventh century BCE
발행기관
백산학회
저자명
박준형(Park Junhyoung)
간행물 정보
『백산학보』第106號, 61~8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12.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논문에서는기원전7세기중반고조선이중원사회에서갖는국제적위상에대해살펴보았다. 기원전664년산융이연을공격하자연이제에게구원을요청하였고이에기원전663년6월에 제가산융을정벌하게된다. 일반적으로제환공이산융을정벌하면서고죽 영지도함께정벌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제가 고죽 영지를 정벌하게 된 사건은 기원전 662년 狄人이 邢을 공격하고기원전660년다시衛를공격한것과관련이있다. 제환공은宋 曹등남주후연합군으로 적인을 공격할 때 북주후의 일원이었던 고죽 영지의 참전을 요구했으나 북주후는 참전하지 않았다. 그러자 제환공은 남주후 연합군을 이끌고 북주후였던 고죽 영지를 정벌한 것이다. 관자 소광편에는제환공의북벌이고죽 산융을넘어예맥까지이르렀다고되어있다. 그러나 실제 제환공의 북벌 대상에 예맥이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단지 제환공의 위업을 과장하는 과정에서 예맥을 포함시킨 것이었다. 그러나 이를 통해 당시 중원인들이 예맥을 고죽 영지와함께북주후의일원으로인식했다는 것을 알수있다. 예맥사회에서 가장 먼저 정치적으로성장한 것이 고조선이었다. 그렇다면 고조선이 바로 북주후 중의 일원이었다고 할 수 있다. 관자 경중갑편에는고조선과제의관계가 ‘朝[朝覲]’로 나온다. 춘추시기에조공은 왕권혹은 대국과제후, 이민족과의정치적질서를구성하는기본적인원리였으며이러한조공행위는朝覲과 聘禮를 통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질서 속에서 고조선과의 문피교역은 그 실질적 의미와 상관없이 책봉-조공관계의 산물인 조공으로 비추어질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관자 경중갑편에서는대등한관계였던吳 越까지도제의조공국으로묘사되었던것을볼때‘朝’라는 글자의의미만으로고조선을조공국으로볼수는없다. 오히려관중은고조선의조공을유도하기 위해 문피를 고가에 매입하기를 원했다. 이것은 조공이 아니라 조공의 형식을 가장한 대등한 교류였던 것이다. 기원전 1000년기 전반기에 대릉하유역을 중심으로 발달했던 전기비파형동검문화의 주체는 고조선이었다. 이러한고조선이기원전7세기중반에북주후의일원이라는위상으로중원사회와 대외관계를 맺었던 것이다. 이후 기원전 4세기 말에 고조선의 조선후가 칭왕하면서 전국 연에 대항한 것이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urvey the status of Old Chosu 古朝鮮 vis-à-vis states in China proper in the mid-seventh century BCE. When Shanrong 山戎 invaded state of Yan 燕 in 664 BCE, State of Qi 齊, responded by Yan s appeal for military support, launched a campaign against Shanrong in the sixth month of the next year. During this campaign it has been widely believed that Duke Huan of Qi also invaded states of Guzhu 孤竹 and Linzhi 令支 as well as Shanrong. Qi s invasion of Guzhu and Linzhi, however, the aftermath of Di people s 狄人 plunder of state of Xing 邢 in 662 BCE and state of Wey 衛 in 660 BCE. Then Duke Huan of Qi, allied with lords of southern provinces such as states of Song 宋 and Cau 曹, also asked lords of northern provinces, such as states of Guzhu and Linzhi, to participated in the campaign against the Di people. However, Duke Huan s request was refused and, as a result, his army with allies invaded Guzhu and Linzhi. According to the chapter of Xiaokuang 小匡篇 of Guanzi 管子 it is said Duke Huan s northern campaign was as far as Yemek 濊貊; in fact Yemek s territory was exempt from his invasion. Yemek just appears here with the purpose of exaggerating Duke Huan s achievements. However, the fact that Yemek was juxtaposed with Guzhu and Linzhi reveals that Chinese writers in the mid-seventh century BCE regarded Yemek as strong and politically prominent as Guzhu and Linzhi. Furthermore, Old Chosun is thought to have been one of lords of northern provinces in that Old Chosun was the most politically developed polity among Yemek. In the chapter of Qingzhong jia 經重甲 of Guanzi, the relation between Old Chosun and Qi was recorded as that of suzerain and tributary. In the period of Spring and Autumn in Chinese history, tributary relation was the basic principle defining the relation between the King of Zhu and large states in one side and vassal lords and foreign peoples in the other side. In this context, the fur trade, in particular those of tiger and leopard pelts, between Old Chosun and Qi was naturally seen as a case of a tributary relation. Considered that states of Wu 吳 and Yue 越, equal counterparts to Qi in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mid-seventh century BCE, were also depicted as tributary countries in the chapter of Qingzhong jia of Guanzi, it will be tempting but dangerous to assume Old Chosun as a tributary country of Qi. Rather, Guan Zhong s 管仲 argument in Guanzi that purchasing Old Chosun s fur at great price will induce Old Chosun to pay frequent tributes to Qi reveals that their relation was not that of a suzerain and a tributary, but an interaction between equals in the guise of tributary rel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齊의 山戎 공격 : 1차 북벌
Ⅲ. 齊의 孤竹․令支[北州侯] 공격 : 2차 북벌
Ⅳ. 고조선의 국제적 위상 : 北州侯로서 예맥․고조선
Ⅴ. 고조선과 齊의 관계 : 명분과 실상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형(Park Junhyoung). (2016).기원전 7세기 중반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와 고조선의 위상. 백산학보, (106), 61-88

MLA

박준형(Park Junhyoung). "기원전 7세기 중반 동북아시아의 국제관계와 고조선의 위상." 백산학보, .106(2016): 6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