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4세기 금관가야의 대외관계 검토

이용수 1209

영문명
A Study on the Review of the Relations between Geumgwan Gaya and External Politics in the 4th century
발행기관
부산고고학회
저자명
조성원(Cho, Seong-Won)
간행물 정보
『고고광장』21권, 25~5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12.30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4세기대 금관가야에서는 다양한 외래계 유물이 출토되고 있다. 현재까지 확인된 외래계 유물은 그 원류지를 기준으로 크게 中國·北方系, 倭, 한반도 내 기타지역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中國·北方系 유물은 금동제 마구와 晋 式帶金具 등과 같은 威信財를 중심으로 확인된다. 이것은 4세기 2/4~3/4분기에 주로 출토되며, 금관가야 내에서도 대성동고분군에 집중된다. 倭系유물은 일상생활과 관련된 하지키계토기가 3세기 후반부터 4세기 말까지 지속적으로 확인되며, 위신재로 추정되는 파형동기, 통형동기, 비취곡옥, 응회암제 석제품 등은 4세기 2/4분기부터 출현한다. 파형동기와 응회암제 석제품은 대부분 대성동고분군에 집중하고 있다. 무기류도 4세기 3/4분기부터는 대성동고분군에 집중하고 있다. 영산강 유역이나 경남 서부지역 같은 한반도 내 기타지역과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 중에는 아직 위신재는 확인되지 않지만, 토기류와 같은 일상생활 관련 자료가 금관가야의 해안지역이나 대성동고분군과 복천동 고분군 등에서 다소 확인된다. 이러한 외래계 유물을 해석하기 위해서, 각 지역의 역사적 흐름과 함께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국·동북계 유물은 그 계통을 반드시 삼연이라고 하기 보다는 고구려와 중국 南朝와의 관련도 고려해 둘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였다. 다만 왜 양 지역이 교류하였는가에 대해서는 향후 자료의 추가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 한편 왜계유물 중 비취곡옥이나 하지키계토기 등의 분포를 볼 때, 일본열도 내 다양한 지역과의 다발적인 교류관계는 물론, 위신재를 중심으로 하는 대성동세력과 畿內 主導勢力과의 교류 관계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교류관계의 이면에는 이전부터 지적되어 온 철 자원이 매개일 가능성도 있지만, 금관가야에 도달한 중국·동북계 문물, 생산력 향상을 위한 철제 농기구나 철제 도구류 등의 입수를 통해 일본열도에서의 정치적 우위를 장악하려는 기내 주도세력의 활발한 움직임과 관련된다고 생각한다. 반대급부로 금관가야에서는 畿內에서 받아들인 응회암제석제품, 파형동기, 동촉 등의 무기류 위신재를 통해, 지원된 왜병의 통솔·지휘권을 확보했을 것으로 보았다. 이는 4세기 중반 이후 삼국사기에서 확인되는 왜의 군사적 움직임과 관련이 있다고 생각한다.

영문 초록

It’s being excavated various artifacts with foreign style from the Geumgwan Gaya regions in the 4th century. It’s based on the origin of the artifact that have been confirmed. It can be categorized into the 4 large groups those’re Goguryeo(高句麗), Wa(倭), Three Yan(三燕) and other region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etc.. The artifacts with Goguryeo and Three Yan style have been observed mainly the identificated artifacts(威信財) those’re the gilt bronze harness(馬具), the gold belt with Jin style(晋式帶金具) etc.. These were usually found from the 2nd quarter to the 3rd quarter in 4th century. It’s concentrated in the Daeseong-dong archaeological site, even within Geumgwan Gaya. The Japan-Hajiki style pottery that it’s connected in everyday life had been consistently confirmed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the end of the 4th century. It’s emerged the identificated artifacts those’re the waveform bronze ware(波形銅器), the cylinder-shaped bronze ware(筒形銅器), the jade sapphire, the tuff stone products etc. from the 2nd quarter of the fourth century. Most of the waveform bronze ware, the tuff stone products had been concentrated in the Daeseong-dong site. The weaponry was also focused on the Daeseong-dong site from the 3rd quarter of the fourth century. It s still not confirmed the identificated artifacts in the data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regions within the Korean peninsula like the Yeongsangang river basin or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 daily living materials such as pottery are quite well found in coastal areas of Geumgwan Gaya, Daeseong-dong and Bokcheon-dong. In order to interpret these Japan style artifacts, it’s figured it out with the historical trends of each region. As a result, The artifacts with Goguryeo and Three Yan style were pointed out that we need to consider the connection with the Chinese southern dynasties(南朝) rather than basing the root on the Three Yan’s entirety. But it’s have to wait for further data growth, to understand why both regions interact. In consideration of the distribution of the jade sapphire, the Hajiki style pottery, it’s known that the both of interchanges were happening simultaneously. There’re the multiple interchange with various areas in the Japanese island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aeseong-dong politics and the Kinai(畿內; provinces surrounding Kyoto and Nara) leading force in the identificated artifacts. In the back of this interaction, the iron resources that have been previously pointed out are likely to be referred to as intermediaries. It’s related to active movement that the Kinai leading force desired to have ascendancy over in the Japanese islands, through the acquisition of the artifacts with Goguryeo and Three Yan style, the iron implements and the steel tools for improving productivity those’re reached at the Geumgwan Gaya regions. By acceptance for the identificated artifacts as the weaponry those’re the tuff stone products, the waveform bronze ware, the bronze arrowhead etc. from the Kinai to the Geumgwan Gaya in a return service, They would have obtained the command and control of the Japanese military. It seems to be related to the Japanese military movements identified in the Chronicles of the Three States(三國史記) since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목차

Ⅰ. 머리말
Ⅱ. 4세기대 금관가야 출토 외래계 유물의 검토
1. 中國·北方系 유물의 검토
2. 倭系 유물의 검토
3. 韓半島 내 교류관계 유물의 검토
Ⅲ. 4세기대 국제 정세와 금관가야의 대외교류
1. 中國·北方系 유물의 해석
2. 倭系 유물의 해석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성원(Cho, Seong-Won). (2017).4세기 금관가야의 대외관계 검토. 고고광장, 21 , 25-56

MLA

조성원(Cho, Seong-Won). "4세기 금관가야의 대외관계 검토." 고고광장, 21.(2017): 25-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