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동유럽 공산체제붕괴에 비추어 본 북한붕괴론 ‘시민사회’개념을 중심으로

이용수 226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정치외교사학회
저자명
박정원
간행물 정보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34집 제2호, 133~169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2.28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붕괴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이며, 특히 시민사회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동유럽 공산체제붕괴와의 비교관점에서 살펴본다. 공산주의체제는 시민사회의 근절과 원자화를 도모한다. 스탈린주의는 그 전형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960년대 이후 동유럽은 스탈린주의가‘후기전체주의’로 변모하였고, 시민사회의 재생이나 활성화가 가능한 분위기가 만들어졌다. 동유럽에서 시민사회의 활성화와 성장이 두드러진 곳은 폴란드였다. 특히 1980년 자유노조‘연대’의 출범은 동유럽 시민사회 발전에 서 분수령이었다. 폴란드 수준은 아니지만 헝가리, 체코슬로바키아, 동독등에서도 1980년대에 이르면‘왜소한 시민사회’가 존재하고 작동하였다. 루마니아를 포함한 다른 곳에서도 비록‘빈사의 상태’였지만 시민사회가 근절되지는 않았다. 동유럽에서 재생이나 재활성화된 시민사회가 1989년 공산정권들을 타도하였다는 것이 널리 받아들여지는 해석이다. 동유럽에 비해 북한에서는 왜소하거나 빈사의 시민사회도 발견하기 어렵다. 북한에서는 시민사회가 근절되거나 뿌리뽑힌 것이다. 자크 루프닉이 말하는‘전체주의적’사회에 가장 부합되는 사회가 북한이다. 주체사상, 억압기제, 사상과 정보통제, 주민감시와 동원체제 등으로 인해 북한에서는 동유럽에 비해 시민사회 활성화나 재생 가능성이 크지 않다. 따라서 북한 에서 동유럽과 유사한 형태의 공산체제 붕괴를 예상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며, 그동안 간헐적으로 제기되어온 북한붕괴론은 재검토가 필요하다. 북한의 변화를 기대한다면 북한붕괴론에 집착하기보다 북한에서 시민사회가 재생되고 활성화될 수 있는 조건을 장려하고 고무하는 것이 보다 나은 전략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make a critical evaluation on the arguments of North Korea’s collapse in light of the collapse of East European communist system,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concept of civil society. Communist regimes purport to eradicate civil society and atomize the whole society. Stalinism represented a specimen of such efforts. However, in Eastern Europe after the 1960s, Stalinism transformed into a ‘posttotalitarianism’ and there was produced an atmosphere where rebirth or revitalization of civil society was made possible. Among East European countries, it was in Poland that revitalization of civil society was remarkable. Especially the birth of the free trade union of ‘Solidarity’ in 1980 was a real watershed in the history of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in Eastern Europe. By the end of 1980s, ‘dwirfish civil society’ could be found in Hungary, Czechoslovakia, and East Germany, though falling short of the Polish standard. Even in Balkan countries, including Romania, civil society was not eradicated and existed in moribund state. It has been widely argued in the literature on Eastern Europe that civil society played a key role in the overthrow of communist regimes in 1989. Compared to Eastern Europe, neither ‘dwirfish civil society’ nor ‘moribund civil society’ can be found in North Korea. There civil society is totally eradicated or rooted out. North Korea exactly corresponds to the Jacques Rupnik’s concept of the ‘totalitarian.’ With the Juche-ideology, restrictive mechanism, manipulation of ideas and information, and the watch system firmly operating in North Korea, the possibility of the rebirth of civil society is very limite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pect a similar pattern of the collapse of the East European communist system in North Korea. The arguments of North Korea’s collapse need to be reconsidered. In order to bring about a genuine change in North Korea, it seems to be a better strategy to encourage the creation of the condition in which the rebirth of civil society can be made rather than to stick to the hope of North Korea’s collapse based on wishful thinking.

목차

Ⅰ. 서 론
Ⅱ. 북한붕괴론이란?
Ⅲ. 동유럽공산체제 붕괴와 시민사회
Ⅳ. 동유럽 사례에 비추어 본 북한붕괴론 평가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원. (2013).동유럽 공산체제붕괴에 비추어 본 북한붕괴론 ‘시민사회’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4 (2), 133-169

MLA

박정원. "동유럽 공산체제붕괴에 비추어 본 북한붕괴론 ‘시민사회’개념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외교사논총, 34.2(2013): 133-1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