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애도와 유령: 유령으로서의 문학

이용수 1364

영문명
Mourning and the Ghost: Literature as a Ghost
발행기관
한국비평이론학회
저자명
이미선(Misun Lee)
간행물 정보
『비평과 이론』제24권 1호, 31~52쪽, 전체 22쪽
주제분류
어문학 > 영어와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2.28
5,4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셰익스피어의 작품에 등장하는 유령들, 그 중에서도 특히 햄릿 아버지의 유령에 대한 여러 논의를 살펴보고, 데리다(Jacques Derrida)와 라캉 (Jacques Lacan)의 유령 논의를 토대로 문학의 역할을 새롭게 규정해 보는 것이다. 데리다에 의하면 유령은 “귀신/다시 돌아오는 것”(revenant)이고 라캉에 의하면 “불충분한 애도”(insufficient mourning) 때문에 유령이 되돌아온다. 애도란 죽음이나 상실에 의해 실재계에 난 구멍을 결여의 기표인 남근으로 메워서 욕망을 지속시키들이고, 상실된 대상의 자리에 다른 욕망의 대상을 채워 넣는 작업인데, 데리다의 정의와 라캉의 설명을 결합하면, 애도가 불충분하거나 생략되면 죽은 사람이 유령이 되어 다시 돌아온다. 유령은 죽음에 대한 충분한 애도가 이루어질 때 까지 반복해서 되돌아온다. 이 논문의 목적은 바로 이런 유령의 역할을 문학과 연결시켜서 문학의 역할을 유령으로서 읽어내는 것이다. 실재계에 난 부재의 구멍이 적절하게 메워질 때까지 반복해서 되돌아오는 유령처럼, 상실과 죽음을 야기한 외상적 경험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인식이 이루어질 때까지 문학이 다양한 형태로 반복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이다. 유령으로서의 문학은 우리에게 세계에 죽음과 상실, 고통으로 만들어진 틈새가 있음을 지적하고 그 틈새를 메우기 위해 애도를 요청하는 역할을 한다. 문학의 역할을 유령의 역할과 동일한 것으로 읽어내게 되면 대면하기 고통스러운 외상적 사건들과 경험들이 문학작품 속에서 반복적으로 다루어지는 이유가 좀 더 명백하게 밝혀지고, 문학의 역할이 새로운 관점에서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various discussions on the ghosts in Shakespeare s plays, especially the ghost of Hamlet s father and define the role of literature based on Jacques Derrida s deconstructive interpretation of the ghost and Jacques Lacan’s psychoanalytic explanation about the ghost. Derrida defines the ghost as the revenant and Lacan offers an answer the question why the ghost returns. According to Lacan, the ghost returns because of insufficient mourning. Mourning is the process of filling in the hole caused by the death of other people in the real with objet petit a and making desire continue. When mourning is absent or insufficient, the ghost appears in the hole and keep returning until mourning is sufficient. This study tried to connect the ghost with literature and define literature as the ghost, for literary works appear over and over again just like the ghost until traumatic experience of death is fully understood. Literature as the ghost shows us that there are gaps caused by death and loss in our world and asks for mourning in order to fill in the gap. When we define the role of literature as the role of the ghost, we can understand why those traumatic experiences are dealt with repetitively in literary works and think of literature from a new perspectiv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미선(Misun Lee). (2019).애도와 유령: 유령으로서의 문학. 비평과 이론, 24 (1), 31-52

MLA

이미선(Misun Lee). "애도와 유령: 유령으로서의 문학." 비평과 이론, 24.1(2019): 31-5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