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봉수의 입지에 관한 연구

이용수 95

영문명
A Study on the Location of Signal Fire Using Geospatial Information - Focus on the signal fire of Oheyahang -
발행기관
한국지적학회
저자명
이동화(Lee, Dong Hwa)
간행물 정보
『한국지적학회지』한국지적학회지 제34권 제2호, 19~30쪽, 전체 12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역개발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4,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시대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봉수는 횃불과 연기로 변방의 상황을 신속하게 중앙 및 주변에 신속히 알리기 위한 신호체계였다. 봉수에는 크게 경봉수, 내지봉수, 연변봉수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 중 연변봉수는 내지봉수나 경봉수와는 달리 신호전달의 목적 이외에도 적침에 대한 방어 및 후망 등의 역할도 수행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연변봉수 중에서 오해야항 봉수대에 대해 문화재적 시각으로 현대기술을 접목하여 GIS의 가시권분석을 통해 조망의 관점에서 입지분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고문헌 및 관련논문에서 언급한 부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연변봉수에 대해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접근을 시도하였으며, GIS분석기법의 가시권분석을 통하여 각 봉수대에서 주변으로의 조망영역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고문헌이나 고지도 상에서의 봉수위치에 대한 이견이 있는 오해야항 봉수를 대상으로 조망의 관점에서 입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망의 관점에서 오해야항 봉수의 적정위치에 대해서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Beginn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Chosun Dynasty, Signal Fire was a signaling system to promptly inform the central and surrounding areas of the situation of the border area with torches and smoke. Signal Fire can be divided into Capital Signal Fire, Inland Signal Fire, and Costal Signal Fire. Among them, Costal Signal Fire served as defense and backdrop for attack as well as signal transmission, unlike Capital Signal Fire and Inland Signal Fire. In this paper, we try to look at the role of the Costal Signal Fire from the standpoint of the observation, and tried to approach the Costal Signal Fire located in Busan City using the geospatial information mentioned in the old literature and related papers. This paper analyzes the visible area of the surrounding area through the analysis of viewshed analysis of the GIS analysis technique. In particular, This paper analyzed the lo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observation of the Oheyahang signal fire which has two different opinion for position of signal fire in the old document or the ancient map and the reasonable position of Oheya signal fire was identified.

목차

1. 서 론
2. 부산에 소재한 연변봉수
3. 부산의 봉수에 대한 조망요소 분석
4. 오해야항 봉수대의 입지분석
5.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동화(Lee, Dong Hwa). (2018).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봉수의 입지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4 (2), 19-30

MLA

이동화(Lee, Dong Hwa). "지형공간정보를 활용한 봉수의 입지에 관한 연구." 한국지적학회지, 34.2(2018): 19-3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