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저작권법 제140조의 영리목적과 상습성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이용수 321

영문명
Criminal Legal Review on Profit-Making Purpose and Habituality on Article 140 of the Copyright Act
발행기관
한국저작권위원회
저자명
박성민(Park, Sung-Min)
간행물 정보
『계간 저작권』계간 저작권 124호(31권 4호), 67~9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법학 > 민법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저작권법 제140조는 영리목적 또는 상습적인 저작재산권침해행위를 비친고죄로 규정하고 있다. 이처럼 저작권법에서는 영리성과 상습성이라는 구성요건개념이 친고죄여부를 확인하는 요소로 기능하는데, 우리 판례는 저작권법 제140조의 영리성과 상습성에 대해서는 구성요건성을 부인한다. 저작권법의 영리성과 상습성이 형법의 영리목적과 상습성과 달리 해석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은 본 논문의 출발점이다. 저작권법의 영리목적은 기능과 개념 면에서 형법에 비해 다양화되어 있지만, 상습성은 책임표지로서 행위자속성에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저작권법과 형법이 상습성의 개념에 차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판례는 상습범 가중처벌규정의 존재를 전제로 일반적인 상습범의 경우에는 포괄일죄를 긍정하지만, 저작재산권침해죄의 경우에는 상습성이 인정되더라도 포괄일죄를 부정하고 실체적 경합범의 성립을 긍정한다. 또한 저작권법 제141조의 양벌규정과 관련해서는 종업원에게 상습성이 인정되면 법인에게도 상습성이 인정된다고 한다. 이러한 결론은 모두 제140조의 영리목적과 상습성이 구성요건이 아닌 소추요건으로 기능한다는 점에 착안한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먼저 영리목적과 상습성이 구성 요건인지 아니면 소추요건을 결정하는 요소인지를 확인하였다. 먼저 상습성 개념의 모호성으로 인한 기능적 관점, 양벌규정의 해석론, 상습저작재산권침해죄의 법익론의 관점에서 상습성의 구성요건성을 긍정하였다. 아울러 판례의 상습저작재산권침해죄에 대한 경합범성립을 비판하면서 저작재산권침해죄의 죄수판단의 기준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rticle 140 of the Copyright Act stipulates any behavior on copyright infringement for Profit-making Purpose or under habituality as the offense indictable without victim’s complaint. As such, in case of the Copyright Act, the composition requirement concept comprising profit-making purpose and habituality functions as the element to confirm eligibility of offense subject to complaint. Korean legal precedents deny the function of composition requirement by profit-making purpose and habituality on Article 140 of the Copyright Act. This thesis is initiated by the question that whether profit-making purpose and habituality on the Copyright Act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from profit-making purpose and habituality on the Criminal Law. It is confirmed herein that Profit-making Purpose under the Copyright Act are more diversified in concept than under the Criminal Law, but habituality as marker of liability is not differentiated in persistence of behaviors. Even though the Copyright Act and Criminal Law is not differentiated in the concept of habituality, Korean legal precedents affirms comprehensive crime in case of normal habitual offenders under the premise of the existence of rules for additional punishment to repeated offender. But in case of crime of infringing author’s property right, comprehensive crime is denied and the composition of substantial multiple offenses is affirmed, even if habituality is acknowledged. Also in relation to the joint penal provisions on article 141 of the Copyright Act, if habituality is acknowledged on any employee, then habituality is acknowledged on the legal entity as well. This conclusions are all conceived from the idea that profit-making purpose and habituality on article 140 function as not composition requirement but requirement for indictment. In this regard, this thesis firstly verified whether Profit-making Purpose and habituality are composition or the element to determine requirement for indictment. Firstly, from the functional perspective due to vagueness of habituality concept, theory of interpretation on joint penal provisions, and theory of the benefit and protection of the law on habitual crime of infringing author’s property right, the composition requirement properties of habituality is affirmed. Furthermore, this thesis, criticizing the legal precedents in constituting multiple offenses on habitual crime of infringing author’s property right, presented the standard for counting crimes on crime of infringing author’s property right.

목차

Ⅰ. 서론
Ⅱ. 영리성과 상습성의 개념 차이
1. 형사법적 관점
2. 저작권법의 관점
Ⅲ. 영리성과 상습성의 소추요건관련성?
1. 소추요건성과 구성요건성의 차이
2. 판례의 입장
3. 상습성의 구성요건성 부정에 수반되는 문제점
4. 상습저작재산권침해죄의 포괄일죄성 인정여부와 죄수판단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성민(Park, Sung-Min). (2018).저작권법 제140조의 영리목적과 상습성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계간 저작권, 31 (4), 67-99

MLA

박성민(Park, Sung-Min). "저작권법 제140조의 영리목적과 상습성에 대한 형사법적 고찰." 계간 저작권, 31.4(2018): 67-9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