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평(富平)’ 지명의 역사지리적 변천

이용수 384

영문명
Historical Geography of Place-Name ‘Bupyeong’ in Incheon City
발행기관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저자명
권선정(Seon jeong Kwon)
간행물 정보
『기전문화연구』제39권 제2호, 15~38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지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공간적 차원에서의 지명은 지표상의 실재하는 권역, 지역, 장소, 경관 등을 지시하고 다양한 의미까지 구성하는 지리적 언표이다. 특히 지역의 대표 지명을 매개로 공간적 차원에 시간 요소를 접목시켜 지역의 역사적 장소성을 포착하고 현재적 입장에서 그 의미를 재구성해보고자 하는 시도는 지역역사지리 또는 지역인문학적 접근의 한 방편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현 인천광역시의 대표적인 역사 지명 중 하나인 ‘부평(富平)’ 지명에 대한 역사지리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 ‘부평’ 지명 자체의 역사적 연원과 근대 이전 조선후기까지의 역사지리적 변천, 그리고 근대이행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경험하게 되는 ‘부평’ 지명의 위상 및 공간 영역의 변화 등을 살펴보았다. 문헌상 ‘부평’ 지명이 처음 등장하는 것은 1310년(충선왕 2)이다. 고려전기 지명 개칭이나 행정구역 변화를 경험하는 군·현 대부분은 조선시대까지 그대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데 부평의 ‘수주’ 지명은 940년(태조 23) 개칭된 이후 ‘안남’, ‘계양’, ‘길주’ 등 여러 차례의 지명 변경을 경험하며 ‘부평’에 이르게 된다. 조선시대 접어들어 ‘부평’ 지명은 부평도호부, 부평현, 부평부, 부평군 등 행정 지위의 승강이나 일시적 폐지가 있었지만 단일 행정구역을 지칭하는 행정명으로 계속해서 유지되어 왔다. 그 공간범위는 현재의 인천광역시 계양구·부평구·서구, 경기도 부천시, 서울특별시 강서구와 구로구의 일부 동리를 포함하는 부평분지 일대의 광범위한 영역이었다. 그렇지만 근대이행기 들어서면서 부평을 포함한 인천 지역 일대에서는 급격한 행정구역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특히 1914년 신설되는 부천군의 등장이 대표적인데, 당시 부천군은 현재의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부천시, 서울의 강서구와 구로구 일부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지역이었다. 단지 인천부의 도시지역 일부만 제외되었을 뿐이다. 그로 인해 600년 이상 유지되던 ‘부평’ 지명은 1914년 부천군 부내면에 편제되는 부평리(富平里, 현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로 그 명맥을 잇게 되었을 뿐이다. 이에 반해 현 부평구 부평동에 해당하는 대정리 일대는 1899년 경인선 철도의 개통, 1939년 부평조병창 개창, 1940년 인천부로의 편입 등과 함께 부평리를 대신하는 새로운 부평의 중심지로 등장한다.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현재처럼 부평역 일대나 부평동, 부평구 등을 부평 지역이라고 생각하는 공간 인식의 단초가 마련되는 것이다. 결국 근대이행기 접어들면서 ‘부천’ 지명(부천군)으로 대체되었다고 할 정도로 약화된 ‘부평’ 지명은 이제 ‘부평동’이나 ‘부평출장소’, ‘부평구’ 등 근대 이전 역사 부평 때의 지명 위상이나 공간 영역과는 구분되는 행정 지위와 관할 범위를 가지며 유지되고 있다.

영문 초록

Place-name in the spatial dimension is a linguistic expression that refers to the real geographical realm, region, place, landscape and constitutes various meanings of them. Especially, through the representative place-name of the region, the attempt to construct the historical place-meaning of the region by incorporating the time factor into the spatial dimension and reconstruct its meaning from the current position is a way of constructing the regional historical geography or regional humanities. In this paper, I attempted a historical geographical approach to place-name ‘Bupyeong’, which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names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Specifically, I looked at the historical origins of place-name Bupyeong itself, the historical geographical changes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changes in the status and territory of place-name ‘Bupyeong’ to be experienced through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to the present. In the historical geographical literature, place-name ‘Bupyeong’ first appeared in 1310(King Choongseon 2). There had been several place-names-‘Suju’, ‘An Nam’, ‘Gyeyang’, ‘Gilju’-before place-name ‘Bupyeong’. During the Joseon Dynasty, place-name ‘Bupyeong’ had experienced very dynamic and interesting changes of being promoted or demoted and even abolished temporarily such as Bupyeong-dohobu, Bupyeong-hyeon, Bupyeong-bu, and Bupyeong-gun, but it had been maintained as the administrative name which refered to a single administrative district for more than 600 years. And the territory of ‘Bupyeong’ was a very wide region of Bupyeong Basin including the present Incheon Metropolitan City(Gyeyang-gu, Bupyeong-gu, Seo-gu), Bucheon city of Gyeonggi Province, Gangseo-gu and Guro-gu of Seoul, and so on. However, in the modern transitionary period, the most drastic change Bupyeong region including Incheon had experienced was just that Bucheon County was newly established in 1914. Newly Bucheon County was a very large area including present Incheon Metropolitan City, Bucheon City in Gyeonggi Province, Gangseo-gu and Guro-gu in Seoul. Only a part of the city of Incheon was excluded. The place-name ‘Bupyeong’ maintained for more than 600 years had just come to maintain its historical status only by the place-name Bupyeong-ri located below Gyeyang mountain in Bucheon County. On the other hand, Daejeong-ri which is equivalent to Bupyeong-dong of the present appeared as a new center of Bupyeong region, replacing Buyeong-ri with the opening of Kyungin Railway in 1899, the opening of Bupyeong weapon industry in 1939 and the incorporation of Incheon in 1940. I think that, through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pyeong-dong or Bupyeong-gu of the present came to be considered as the representative place of Bupyeong region. In the end, the place-name ‘Bupyeong’ was weakened enough to say that it was replaced by ‘Bucheon’(Bucheon County). place-name ‘Bupyeong’ is now maintained with administrative status and jurisdiction such as ‘Bupyeong-dong’, ‘Bupyeong-gu’, etc.

목차

국문요약
1. 서론
2. ‘부평(富平)’ 지명의 역사적 연원
3. 근대이행기 ‘부평’ 지명의 변화와 공간적 변천
4. 나가며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선정(Seon jeong Kwon). (2018).‘부평(富平)’ 지명의 역사지리적 변천. 기전문화연구, 39 (2), 15-38

MLA

권선정(Seon jeong Kwon). "‘부평(富平)’ 지명의 역사지리적 변천." 기전문화연구, 39.2(2018): 15-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