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린이 사망의 연관성

이용수 94

영문명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and Childhood Mortality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학회
저자명
윤태호 김준연 유승흠 김정만 이용환 흥영습 이상이
간행물 정보
『보건과 사회과학』제20집, 29~46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7.01.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의 연령군별에 따라 출생 시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어린이 사망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자료원은 1995년 출생아 전체를 모집단으로 하여 1995년에서 2003년까지의 사망아를 주민번호로 연결한 출생-사망 코호트 자료이다. 출생아의 주민동록이 부정확하여 짝짓기에서 오류가 있거나, 입력에 오류가 있는 경우를 제외한 출생아 696,025명, 사망아 3,547명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령은 신생아기, 후기신생아기, 1-4세, 5-8세로 분류하였고,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부모의 교육수준과 아버지의 직업계급으로 하였다. 통계분석은 콕스의 비례위험함수 모형을 활용하였다.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산모의 연령, 임신주수, 태아수, 태아의 성별, 출생 시 체중을 보정한 후에도 어린이 사망률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신생아기에서는 그 유의성이 비교적 약하였으나, 후기 신생아기, 1-4세, 5-8세에서는 부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사망위험비가 계단식으로 증가하였으며, 아버지보다는 어머니의 학력수준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생 지역의 사회경제적 수준에 따라서도 어린이의 연령군별 사망위험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지난 수십년간 어린이 사망률은 양적으로는 급격하게 감소되어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사회계층 간의 불평등 문제는 개선될 여지가 많다. 어린이는 건강불평등을 감소시키는데 가장 중요한 인구 집단이다. 특히 저출산의 시대에서 어린이의 건강불평등을 줄이기 위한 보다 적극적이고 강력한 국가적, 사회적 정책 개입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childhood mortality and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according to age groups. Data on births registered in South Korea in 1995 (696,025 births) were linked with the national death register 1995-2003 (3,547 deaths) using unique national identification numbers. Parental socioeconomic position was defined by parental education level and occupation of the father. Age groups were classified as neonatal, post-neonatal, 1-4 and 5-8 years. Statistical analyses were based on the multivariate Cox s proportional hazard model after adjustment for maternal age at birth, birth weight, gestational age and plurality. There was a systematic gradient in child mortality according to the parental education level, occupation of the father, and regional socioeconomic state at birth. Multivariate analyses demonstrated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morality rate ratios; independent associations were persistent in the post-neonatal period, 1-4, 5-8 age groups, but in the case of neonatal period, it was weaker. Children whose parents, especially the mother, had the highest education had over 3 times a higher mortality rate than those in the lowest sector. Child health has improved dramatically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decades, but there are some alarming negative socioeconomic trends. Children are an important group for interventions aimed at reducing health inequalities.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should recognize more the right of all children to the best possible start in life.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태호,김준연,유승흠,김정만,이용환,흥영습,이상이. (2007).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린이 사망의 연관성. 보건과 사회과학, 20 , 29-46

MLA

윤태호,김준연,유승흠,김정만,이용환,흥영습,이상이.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어린이 사망의 연관성." 보건과 사회과학, 20.(2007): 29-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