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연해주 지역 사원지 출토 발해 불상 시론

이용수 453

영문명
An Essay on the Buddhist Scupltures of Balhae from Primorye
발행기관
한국상고사학회
저자명
양은경(Eun Gyeng Yang)
간행물 정보
『한국상고사학보』제102호, 145~17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1.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해주지역의 발해 불상은 사원지를 발굴하는 과정에서 수습된 배경으로 인해 그 특징과 연대, 공반유물과의 관련성, 금당건물과 불상의 연관성 등 이 지역 발해 불상과 불교문화를 복원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연해주 발해 불상은 파편으로 수습되었거나 혹은 잔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이유로 인해 불상의 존격, 특징, 양식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힘든 어려움이 있으며, 그 결과 연구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연해주 발해 불상은 유물자체가 희소한 발해시대 불교유물이라는 사실과 더불어 중국, 북한에 소재하는 사례들은 자료로서의 접근 자체가 불가능한 현실로 인해 연해주지역 발해 불상의 중요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필자는 본고에서 연해주 발해 불상을 자료소개하는 의미에서 우선 재질을 기초로 한 분류작업을 실시하였으며, 현상과 제작연대에 대해 중점적으로 언급하였다. 또한 이렇게 분류된내용들을 기초로 하여, 연해주지역 발해 불상의 제작기법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앞에서 검토한 내용들을 종합한 후 금당의 내부에서 불상이 안치되었을 모습에 대해 그 추정안을 미력하나마 제시해 보았다. 필자가 현지에서 조사한 연해주지역 발해 금동상은 총 7점이었으며, 소조상은 파편까지 모두 포함하여 20여 점이었다. 연해주지역 발해 금동, 소조상은 조사과정에서 간략하지만 제작기법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하면, 이 지역 금동상은 조각상 내부가 공간이 없이 꽉 찬 통주식의 주조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이러한 주조기법은 동시기 발해 상경성의 금동상이 통주식과 중공식으로 주조된 것과는 다소 차별성이 확인되었으며 전체적인 제작수준은 간단하고 조잡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해주지역 발해 소조상은 제작기법면에서 성형, 채색, 건조의 제작과정을 거쳐 완성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성형방법은 손빚기, 틀찍기가 모두 활용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제작방식은 상경성, 팔련성의 발해 소조상에서도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연해주지역 소조상은 상경성, 팔련성 유물에 비해 전체적으로 제작수준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리소프카, 아브리코스사원지의 금당지에서는 소조상만이 집중적으로 출토된 사실을 통해, 이 두 사원지 금당 내부에는 소조상이 주존 불상으로 봉안되었을 가능성이 높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금당 속에서 주존불상이 안치된 복원안을 추정한 결과, 연해주지역의 금당지 내부에는 불상을 봉안하기 위해 마련된 특별한 시설이 없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내용은 동시기 상경성의 금당 속에는 안칸, 바깥칸의 내외진 이중구조가 마련되었으며 안칸에는 불상을 안치하기 위한 토단의 불단이 축조되어 있었던 사실과는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영문 초록

Through the special exhibit on the Buddhist Statues of Balhae(渤海) from Primorye(沿海州) we can see that the number of statues held in Korea are small, but general investigations and concrete research on them are unsatisfactory. Due to the fact that the on the ground study of statuary is restricted at the ground level in the capitals of Sanggyeong Castle(Shangjing Fortress 上京城) and Pal-ryeon Castle(Balian Fortress 八連城), there are limits on how much Buddhist culture of Balhae can be reconstructed. As such the study of Primorye is all the more important. In this paper I examine the current statues,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dates of the Buddhist statuary of this region based on my on-site investigation. In addition, by looking at the style of Buddhist sculptures as one of the established research methods, I branch out and enquire on the production techniques, and through this I comment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ues of the region in Sang-gyeong Castle and through comparison with China and Unified Silla. Finally, after I consider the archaeological site from which they have been excavated, I present a reconstruction of and conjectures about statues enshrined in buildings. Seven gilt-bronze statues have been discovered in the Primorye region, and among the collections there are twenty that include fragments, and three stone statues. Names of sacred images of the Buddha include gilt-bronze Buddhas, bodhisattvas, and monks, and stone Buddhas. Clay figures are in fragments and so it is not easy to so much mor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buddhist Statues is conjectured along with roofend tiles to have been produced in the 8th and 9th centuries. Regionalism in the production techniques of the gilt-bronze Buddhist sculptures can be strongly read. The gilt-bronze statues are in parts and were all tubular casted. Except for Shangjing Fortress and Unified Silla tubular casted examples, there were distinct hollow casted examples. The casting techniques of the Primorye region Balhae gilt-bronze statues are more ancient compared to those of the capitals of Balhae and Unified Silla and were also more crude and simple. The Clay figures of this region are made through a process of formation, painting, and drying. The formation process can be further divided into hand moulding and teuljjikgi. Large-and medium-sized hand moulding methods were adopted; after the wooden skeleton was erected, several layers of clay were placed over that and it was then painted. The smaller examples were made by hand moulding and teuljjikgi. The clay figures of Sang-gyeong and Pal-ryeon Castles were made the same way. However, those of Sang-gyeong and Pal-ryeon castles were comparatively crude and made in a non-uniform way so that the examples of the capital region were better. The dimensions of the main hall from which the Bahae Primorye Buddhist Statues were excavated are each 7x7 m ( length and width), 8x8 m, and 13x12 m at Sanggyeong and Pal-ryeon castles, and compared to the Balhae examples are two or three times smaller in size. The small size of the building, the diameter of the roof-end tile is smaller than in the Balhae region. Finally, traditions were maintained on the main temple buildings of Balhae on the shore of the Ussuri River and the enshrined Buddhist Statues there.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연해주 발해 불상의 분류와 현황
Ⅲ. 연해주 발해 불상의 제작기법
Ⅳ. 연해주 발해 불상과 금당건물의 복원 추정안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은경(Eun Gyeng Yang). (2018).연해주 지역 사원지 출토 발해 불상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102), 145-175

MLA

양은경(Eun Gyeng Yang). "연해주 지역 사원지 출토 발해 불상 시론." 한국상고사학보, .102(2018): 145-17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