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효능감이 수업혁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004
- 영문명
- The Effect of Teacher’s Autonomy, Collaboration and Self-efficacy on Improvement of Instruction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안혜정(Ahn Hye Jung) 이현정(Lee Hyun j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8輯, 145~1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효능감이 수업개선에 미치는 영향과 그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여 일반학교와 혁신학교에서 각 변인들의 구조적 관계에 차이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일반학교의 수업개선 지원 방향을 제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를 위한 조사는 서울지역 26개 고등학교 교사 434명으로 20개 일반학교 교사 215명, 지정 5년 이상 경과된 6개 혁신학교 교사 219명을 대상으로 교사자율성, 교사협력, 교사 개인효능감, 교사 집단효능감, 수업개선 노력에 대해 자기보고식 검사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혁신학교와 일반학교에서 나타나는 각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다중집단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자율성은 교사협력, 교사 개인효능감,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협력은 교사 집단효능감과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자율성은 수업개선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으며, 교사협력을 매개로 수업개선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일반학교와 혁신학교는 구조적 관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일반학교는 교사협력을 매개로하는 경로만 유의했으나 혁신학교는 교사협력을 매개로 하는 경로 뿐 아니라 교사자율성과 수업개선의 직접경로도 유의했다. 이러한 결과는 일반학교의 수업개선을 위해서는 교사자율성을 확대하고 교사협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강화하기 위한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teacher’s autonomy,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 efficacy on the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structured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Hyuksin schoo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434 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were surveyed. Also,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Multiple Structural Equation Model were employed to learn the structured relationships of each variable. SPSS Statistics 20 and SPSS AMOS 24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teacher collaboration, teacher selfefficacy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was significant. The path from teacher collaboration to teacher groupefficacy and improvement of instruction was also significant. Second, as for the significant path influencing improvement of instruction, there were significant results in both the direct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and the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via teacher collabora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general schools and innovation schools. The path from teacher autonomy to improvement of instruction in general schools was not significant and it showed no cor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On the other hand, it showed a significancant result in innovation schoo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