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교사의 학교현장실습 경험 여부에 따른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비교
이용수 329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cogni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by Preliminary Teachers Experiences in school field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조형정(Cho Hyung Jeong) 권회림(Kwon Hoi Lym)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68輯, 119~1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5년 7월 인성교육진흥법에 의해 교원영성기관은 인성교육을 위하여 의무적으로 인성관련 교과를 개설 및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원양성기관에서 인성관련 교직교과를 수강한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정도를 파악하고,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에 필요한 인성교육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예비교원양성과정의 ‘학교폭력예방 및 이해’ 수업에 참여한 110명 학습자 중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 42명과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예비교사 43명을 대상으로 인성교육관련 설문을 실시하여 차이검증을 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폭력예방 및 이해’ 교과를 이수하고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시점에서 측정한 인성교육에 대한 인식 결과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한 예비교사와 학교현장실습을 경험하지 않은 예비교사 간 인성교육 인식은 ‘인성교육을 위해 필요한 논의사항’, ‘학교현장의 인성교육 여건과 분위기’, ‘인성교육에 적합한 시간’, ‘인성교육 장애요인’에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인성교육에서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교육으로는 타인을 위한 배려, 감정통제, 정직 등과 같이 인성의 근본적인 요소를 지도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과 생활지도와 상담교육 그리고 효과적인 교수법 및 커뮤니케이션 등 실질적인 내용을 필요로 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현장실습과 예비교사를 위한 인성교육이 교원양성과정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education that pre - service teachers recognize and to identify the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needed for teacher education institutions. It was analyzed in relation via t-test with 42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chool field experience and 43 pre-service teachers who did not have on school field experience. As the result,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ception of character education before the school field experience. On the other hand, recognition of character education between pre-service teachers who had school field experience and pre-service teachers who did not have school field experience was some difference in ‘need for Personality Education contents’, character education condition and atmosphere , time suitable for character education , and character education disability factor .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required practical instructional content such as life guidance, counseling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s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ed the follow - up study so that the teacher practice and character education for the pre - service teachers can be operated effectively in the course of teacher educ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