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차마나 과정의 이해와 중요성 재고

이용수 81

영문명
Importance of Sikkhamānā’s Education on the Vinaya and the Six-precepts for the Achievement of Brahmacārya,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유정(오호연) (Yu-Jeong (Oh, hoyoun))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6호, 279~303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율장에 나타난 식차마나 이세학계와 육법수행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그중요성을 부각시키고자 한다. 식차마나(式叉摩那, śikṣamāṇā, sikkhamānā)는 정학녀(正學女) 혹은 학계니(學戒尼)로 풀이된다. 2년 동안 계율을 배워야 하므로 이세학계(二歲學戒)라고도 하며, 그 2년 동안 六法을 지켜야 한다. 비구니계를 미리 배우고 식차육법을 수행하는 것은 청정범행을 닦는 도(道)의 시작이다. 식차마나로서 배움을 수행하여 비구니 아라한이 된 실례를 ≷장로 니게주석, Therīgāthā-aṭṭhakathā≸에서 찾을 수 있다. ≷사분율 (四分律)≸의 육법은 불음행, 불투도, 불살생, 불망어, 비시식, 불음주다. 여러 율의 육법 항목이 조금씩 다르지만, 종합하면 불음행과 불비시식에 중점을 두고 있다. 육법수행이 식차마나로서 음욕과 식욕이 끊어져야 욕계에서 벗어날 수 있는 수행차제인 계행을 익히게 하려는 목적임을 알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식차마나와 관련된 이부승(二部僧)수계제도가 1982년에 복원된 후, 현재 이세학계는 지키고 있지만 식차육법 수행에는 크게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다. 대만에서는 2002년부터 비구니수계의 선행조건으로 식차마나 육법의 원만수행을 강조한다. 중국에서도 식차마나의 육법수행이 행해지고 있다. 또, 1997년 ≷사분 율≸의 전통에 따라 동북아의 계맥을 이식받은 스리랑카를 비롯한 태국, 서양의 비구 니교단에서는 아직 식차마나계가 없지만, 식차마나계의 중요성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세학계를 주고 육법수행을 지도하는 것은 비구니교단에서 자체적으로 시행하는 것이다. 식차마나들에게 계행이 곧 청정범행을 닦는 수행이 되도록 하는 이세학계는, 비구니교단이 청정범행을 다져서 자체적으로 교권을 확고하게 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A sikkhamānā ( 式叉摩那 , śikṣamāṇā) refers to a female novice as the candidate of bhikkhuni. They must complete two years of education on the bhikkhunipātimokkha (vinaya). Sikkha means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vinaya, so that is called the two-year trainee vow ( 二歲學戒 ). During that time, they have to practice the six-precepts ( 六法 ). According to the Dharmaguptaka-vinaya six-precepts prohibits having sexual relations, stealing, killing, lying, drinking alcohol, and eating after noon. In the case of breaking any of those precepts, she has to renew her vow and start over again. After that, a sikkhamānā is eligible for taking bhikkhuni ordination from the dual sangha. The concept of sikkhamānā and the six-precepts first appeared on the Garudhammas. A sikkhamānā and her master’s qualifications are emphasized on the pācittiyas ( 波逸提 ). The duty of a master is to teach sikkhamānā about Dharma (sīla, samatha, vipassana) and protect them from breaking the precepts. So, the educational period is one kind of important foundations for sikkhamānā to become a bikkhuni, doing the brahmacārya ( 淸淨梵行 ). This whole process helps a bikkhuni to be an arhart (Theri). Nowadays, in Korea bikkhuni sangha, though they meet the requirements of two-year time period, they lack the efforts of applying the six precepts to their every day life. However, the Taiwan bikkhuni sangha is strict in keeping the sikkhamānā’s six-precepts. For the Korea bhikkhuni sangha, I would like to suggest a few ways to improve their brahmacārya; increasing the period of education on the vinaya and implementing the six-precepts in their daily life such as no eating after noon.

목차

I. 서론
II. 식차마나의 의미와 식차마나들에 대한 기록
III. 식차마나 관련 바일제의 계문들과 식 차육법의 내용
IV. 현대 비구니교단에서 이세학계의 적용 실태와 의미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정(오호연),(Yu-Jeong (Oh, hoyoun)). (2018).식차마나 과정의 이해와 중요성 재고. 불교학연구, 56 (56), 279-303

MLA

유정(오호연),(Yu-Jeong (Oh, hoyoun)). "식차마나 과정의 이해와 중요성 재고." 불교학연구, 56.56(2018): 279-30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