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법장의 시간론과 하이데거의 시간론의 호혜적 이해

이용수 121

영문명
A Reciprocal Understanding of Fazang’s Time-theory and Heidegger’s Time-theory
발행기관
불교학연구회
저자명
정은해(Cheong, Eunhae)
간행물 정보
『불교학연구』제56호, 111~14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9.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법장은 함께하지 못하는 것들인 3세현재는 (3세과거, 3세미래도 역시) 상호 유래를 비밀로 하고, 오직 함께하는 것들인 현재3세(나 과거3세, 미래3세)의 상호 유래만이 현현한다고 밝힌다. 또한 그는 9세를 1념으로 되게 하는 것은 결국 법성융통이라고 한다. 1 념을 성립시키는 법성융통에 상응하는 하이데거의 개념은 3차원의 서로-자기를-넘겨 줌이 지닌 고유한 점, 곧 ‘각자를 위한 각자의 건네줌’인데, 이것을 하이데거는 본래적 시간의 제4차원이라고 말한다. 하이데거는 존재, 시간, 인간을 그것들의 고유한 점, 곧그것들의 공속성 속으로 들어서게 하는 것이 바로 그것들을 각자 존재, 시간, 인간으로 자기화하는 것이며, 바로 이러한 자기화사건이 존재, 시간, 인간의 유래처라고 한다. 그러면서 그는 자기화사건의 독특한 점은 자기회피라고 한다. 시간의 측면에서 볼 때, 자기화사건의 자기회피는 자기화사건이 자신이 시간을 건네준다는 것을 은폐한다는 점과 과거에게 현재가 거부되고 도래에게 현재가 지체된다는 점에 놓여 있다. 시간을 건네주는 자기화사건이 자기를 은폐한다는 점은 ‘함께하지 않는 3세의 상호 유래가 비밀로 된다’는 법장의 설명과 상관되고, 과거에게 현재가 거부되고 도래에게 현재가 지체 된다는 것은 ‘현재의 현재는 있고, 현재의 과거와 현재의 미래는 없다’는 법장의 설명과 상관된다. 자기화사건이 지닌 다른 하나의 독특한 점은 인간이 자기화사건에 참여함에 의해, 곧 시간-공간 속에서 내존하면서 현존의 접근을 알아차리고 넘겨받음에 의해, 인간존재의 탁월한 점을, 곧 세계내존재를 획득하게 된다는 점이다. 법장은 성기를 구분 하여 리성기, 행성기, 과성기가 있다고 말하는데, 이것들은 하이데거가 말하는 자기화 사건의 관점에서 숙고해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Fazang says that the mutual origination of three presents which don’t go along together ( 不俱 ) becomes secret, while the mutual origination of past’s three generations which go along together ( 俱 ) becomes manifest. He says further that what enables nine generations to be one moment is the mutual adaptability between actuality and principle ( 法性融通 ). Heidegger’s concept that corresponds to this mutual adaptability is the very fourth dimension of original time, which means the interplay of each toward each among three dimensions. He says that the common origin of time, being, and human is the Appropriation (das Ereignis) which determines time, being, and human in what is proper to them, i. e. in their belonging together. According to him, one peculiar property of the Appropriation is self-withholding. This means, with regard to time, that it conceals the origin of giving of time and that in the sending of past and future a denial of present and its withholding are at play. Such a concealing reminds us Fazang’s saying that the mutual origination of three generations which don’t go along together becomes secret; and a denial of present and its withholding in the reaching of past and future remind us Fazang’s saying that the present of present exists, but the past of present and the future of present don’t exist. According to Heidegger, another peculiar property of the Appropriation is that human being has attained its own distinction by participating in the Appropriation, i. e. in perceiving and receiving the approaching of presencing within time-space. This peculiar property of the Appropriation can be deliberated with regard to the Fazang’s explanation of the arising of nature ( 性起 ).

목차

I. 머리말
II. 십세격법이성문
III. 10세의 건립과 9세의 존재 여부
IV. 9세의 상호 유래와 시간의 3중적인
건네줌 V. 법성의 융통과 시간의 제4차원
VI. 자기화사건과 성기
VII.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은해(Cheong, Eunhae). (2018).법장의 시간론과 하이데거의 시간론의 호혜적 이해. 불교학연구, 56 (56), 111-145

MLA

정은해(Cheong, Eunhae). "법장의 시간론과 하이데거의 시간론의 호혜적 이해." 불교학연구, 56.56(2018): 111-1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