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효사상에 기반한 화쟁적 태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이용수 175

영문명
Hwajaeng Attitude Scale Development based on Wonhyo’s Thought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정현천(Hyun Chun Jung) 성상현(Sang Hyeon Sung)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2집 3권, 97~133쪽, 전체 37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7,2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의 전통 사상 가운데 화쟁을 잘 이해하여 현실에 적용함으로써 여러 경영 문제의 한국적 해법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화쟁을 하나의 구성개념으로 보아 개인의 태도 측면에서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화쟁은 신라의 승려인 원효의 대표적인 사상으로서, 그 내용은 서로 다른 의견을 화해시키고 올바른 의견을 가질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쟁의 구성요소는 ‘① 상대방 주장의 변별적 수용, ② 내 주장의 오류 또는 불완전성 인정, ③ 언어의 한계를 이해하고 정확한 언어를 사용하려는 노력, ④ 언어 이면의 배경과 맥락을 파악하려는 노력, ⑤ 통합적인 공동의 궁극적 이익 추구’의 다섯 가지로 파악되었다. 이를 측정하고자 30문항의 설문을 개발하여 개인 차원의 다양성 인식에 대한 6 문항과 함께 인터넷 조사기관에 등록된 패널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실한 응답을 제공한 544명에 대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모형적합도와 집중타당도 및 판별타당성, 그리고 신뢰도의 확보를 확인하였으며, 다양성 인식과의 관련성을 통해 준거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 측정도구는 개인의 화쟁적 태도를 측정하여 기업 경영에 활용하기 위한 실증분석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연구를 통해 화쟁적 태도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맥락에서 다른 변수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기업경영에 유의미한 통찰을 이끌어낼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다. 이어서 구성원들의 화 쟁적 태도 수준을 높이고 팀 또는 조직 차원의 화쟁적 태도 수준에 대해서도 측정하고 관리할 필요성 및 가능성과 관련하여 연구의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Korean ideas to come up with solutions to modern-day managerial issues in Korean companies. To this end, we attempted to develop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measuring “Hwajaeng.” “Hwajaeng” represents the teachings of Wonhyo, a well-known monk of Silla. His teachings emphasized the logic of harmonization through the reconciliation of different views and opinions. From the concept of ‘Hwajaeng’, five components were identified: ‘① discerning acceptance of the other party’s assertion(s) ② recognition of errors or imperfections of my own views and assertion(s) ③ understanding of the limitations of language and efforts to use the most complete words and expressions ④ efforts to grasp the background and context behind the language, ⑤ pursuits of the common ultimate good’. On a 30-item questionnaire of “Hwajaeng’ attitude, together with 6-item individual-level diversity perceptions scale, 544 enrolled internet research panelists gave meaningful responses. Following data analysis, the model fit, convergent validity, discriminant validity, and reliability were confirmed. With the relation to individuallevel recognition of diversity, criterion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erefore, we find that this tool is suitable for measuring the new construct of individuals’ ‘Hwajaeng’ attitude and applying it to practical management for companies. This study has provided a basis for capturing meaningful insights in corporate management in various contexts in which the Hwajaeng attitude/construct can be applied. We then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study with regards to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individuals’ Hwajaeng attitude, and of measuring and managing at the team or the organization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논의 및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현천(Hyun Chun Jung),성상현(Sang Hyeon Sung). (2018).원효사상에 기반한 화쟁적 태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 (3), 97-133

MLA

정현천(Hyun Chun Jung),성상현(Sang Hyeon Sung). "원효사상에 기반한 화쟁적 태도 측정도구 개발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3(2018): 97-13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