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이용수 1060

영문명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이강민(Lee, Kangmin) 전상길(Jeon, Sanggil)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2집 3권, 1~29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연구 1(척도 개발)에서 국내외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 검토, 국내 직장인 100명을 대상으로 한 개방형 설문조사 및 전문가 그룹의 검증 등을 통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측정문항을 개발했다. 연구 2(척도 타당화)에서 개발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측정문항을 사용해, 다양한 업종에서 일하는 국내 직장인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해, 비윤리적친조직 행동을 구성하는 하위요인 2개(비윤리적 친조직 외부지향 행동, 비윤리적 친조직 내부지향 행동)를 새롭게 발견했다. 이어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2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리고 기존의 유사 개념과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구성개념간의 변별성을 확인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과 측정모형의 적합도를 비교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은 기존의 유사 개념들(조직지향 조직시민행동, 조직일탈)과 확연히 구분되는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진 조직동일시와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해,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의 예측타당도를 검증했다. 검증결과에 따르면, 조직동일시가 비윤리적 친조직 외부지향 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Korean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 First, in preliminary study we reviewed papers related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s, and developed items to measure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by open-ended questionnaires. After that, we examined content validity of those items with HR experts. In the present study,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o find out internal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using the responses of 400 workers from a variety of organizations in Korea. The result revealed two-factor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for the first time. Also, in order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obtained from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 conducte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found the two-factor structure had the most acceptable model fit. Also, we examined whether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can be distinguished with other similar constructs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such as organization-focused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c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can be well distinguished with organization-focused citizenship behavior, and organizational deviance. Furthermore, we investigated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predictive validity) of unethical pro-organizational behavior scale, and verified that unethical pro-organizational external behavior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This result was obviously correspondent with previous many research results.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suggest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강민(Lee, Kangmin),전상길(Jeon, Sanggil). (2018).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 (3), 1-29

MLA

이강민(Lee, Kangmin),전상길(Jeon, Sanggil). "한국형 비윤리적 친조직 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한 탐색적 연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3(2018): 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