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번트 리더십이 멕시코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472

영문명
Servant Leadership and Mexican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The Mediating Roles of Trust in Leader and Job Control
발행기관
한국인사관리학회
저자명
조영삼(Cho, Youngsam) 김영신(Kim, Youngshin) 이재학(Lee, Jaehak)
간행물 정보
『조직과 인사관리연구』조직과 인사관리연구 제42집 3권, 67~9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멕시코 현지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서번트 리더십이 그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멕시코는 북미와 남미를 연결하는 전략적 요충지로서 풍부한 저가의 노동력에 기인하여 국내 선도기업들의 생산거점이자 수출 교두보로서의 중요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방문한 멕시코 내 한국기업의 생산 자회사 관계자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현지노동시장에서의 높은 이직률로 인한 경영상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의 사람중심 적 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지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번트 리더십에 주목함과 동시에 리더십과 구성원의 이직의도 간 관계에서 중요한 심리적 메커니즘으로서 리더신뢰 및 직무통제의 매개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사회교환이론 관점에서 서번트 리더십 행위는 리더에 대한 구성원들의 신뢰를 높임으로써 그들의 이직의도를 낮출 것으로 예상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또다른 매개변수로서 직무통제에 주목하였다. 이는 직무통제와 이직의도 간 관계에 대한 기존의 연구결과 들이 다소 혼재되어 있기에 본 연구에서는 이직이 용이한 멕시코 노동시장 환경에서 그 관계를 재조명해보고자 하였다. 경력이론은 개인, 조직, 노동시장의 역동적 관계를 통해 개인의 이직 메커니즘을 설명한다. 이직이 용이한 환경에서 직무통제 권한을 높게 인지하는 구성원들은 자기 역량에 대한 자신감과 외부의 구직기회로 인해 더 높은 이직의도를 가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결과, 서번트 리더십과 이직의도 간의 직접적인 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며 리더에 대한 신뢰와 직무통제가 그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번트 리더십은 리더에 대한 신뢰 및 직무통제와 모두 정의 관계를 보였다. 하지만 리더에 대한 신뢰는 이직의도와 부의 관계를 나타낸 반면 직무통제는 이직의도와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즉, 서번트 리더십은 두 가지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이직의도에 상반되는 간접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결과는 서번트 리더십에 대한 인사관리차원에서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ervant leadership on turnover intention of Mexican employees. Mexico has played an important roles as a production base and a bridgehead of export for Korean leading companies due to an abundant supply of cheap labor.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 with managers of subsidiaries of Korean company in Mexico, we could realize managerial difficulties and importance of people oriented leadership, due to high turnover rate in the labor market. Thu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ant leadership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rust in leader and job control as important psychological mechanisms. At first, we expect that trust in leader formed by servant leadership decreases turnover in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hange theory. Then we shed ligh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ontrol, as another mediator, and turnover intention in Mexican labor market with plenty of employment opportunities, because there have been mixed results for the relationship. Drawing upon career theory, we expect that the employees who perceive higher authority of job control have higher turnover intention. Based 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the results indicated that servant leadership had no significantly direct effect on turnover intention, while trust in leader and job control mediated the relationship, respectively. Servant leadership was positively related to both trust in leader and job control. However, trust in leader was nega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while job control wa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That is, servant leadership had contrasting indirect effects on turnover intention through the two different mechanisms. The research findings provid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servant leade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영삼(Cho, Youngsam),김영신(Kim, Youngshin),이재학(Lee, Jaehak). (2018).서번트 리더십이 멕시코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 (3), 67-95

MLA

조영삼(Cho, Youngsam),김영신(Kim, Youngshin),이재학(Lee, Jaehak). "서번트 리더십이 멕시코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42.3(2018): 67-9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