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 말기에 등장한 새로운 전통 의학 이론

이용수 315

영문명
The New Theory of Traditional Medicine Appeared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Supporting Yang theory by the scholar physician Lee Kyujoon
발행기관
의료역사연구회
저자명
오재근(OH, Chaekun)
간행물 정보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의료사회사연구 제1집, 39~73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4.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 말기, 세상은 무척이나 혼란스러웠다. 이규준은 유학자이자 의학자로서 조선이 처한 문제를 유학자들이 성인의 가르침을 제대로 구하지 않은 채 붕당을 조성해 철학적 개념인 리기(理氣)에 대한 논쟁만을 벌이는 바람에 발생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리고 심과 성은 하나이며(心性一物), 리와 기는 합쳐져 있다고(理氣合體) 주장하며 관련 논쟁을 아우르고자 했다. 당대 조선 의학의 주된 흐름은 주진형(朱震亨)의 의학을 계승한 동의보감 과 장개빈(張介賓)의 의학이었다. 주진형은 간장과 신장에서 발동한 상화(相火)가 진음(眞陰)을 태워버리는 것에 대응해 음기를 자양하고 화기를 내려주는 자음강화(滋陰降火)의 치료법을 강조했다. 장개빈은 명문(命門)을 인체의 태극으로 여기며, 그 중에 상화가 간직되어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명문에 간직된 화기(火氣)와 진음(眞陰)을 따뜻하게 덥히면서 보충해주어야 한다고(溫補) 주장했다. 이규준은 장개빈의 견해를 쫓아 주진형의 상화론(相火論)을 비판하고 양기를 도와줄 것을 주장했지만, 명문 상화에 대해서만큼은, 명문은 심포락이고, 상화는 심장의 화(火)가 신장의 수(水) 중에서 운행하는 것일 뿐이라며, 장개빈 의학과의 차별을 시도했다. 이규준은 부양론을 기치로 들며 기존 의학의 오류를 바로 잡으려 했다. 명문으로부터 태극을 분리시키고, 명문의 위치와 기능을 심장으로 집중시켰다. 명문과 심장을 결합시킨 그의 의학 이론은 리기(理氣)를 구분하지 않으려 했던 성리학적 주장과 긴밀하게 연결된다. 입증 불가한 성리학적 논쟁의 한계를 의학을 통해 해결하고자 했던 것이다. 그가 명문 상화를 부정하고 심장 군화를 강조했던 이유를 의학 이론 외적인 측면에서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혹시 유학자들에게 멋대로 운행하며 온몸의 진액을 말라버리게 하는 상화가 아니라 군주(君主) 곁에서 군주의 명령을 수행하는 상화로 활동하며 당대 조선이 처한 혼란상을 해결해야 한다는 권고로 본다면 지나친 해석일까?

영문 초록

The late Joseon Dynasty, in which Lee Kyujoon ( 李圭晙 ) was active, was very confused period. He studied the scriptures of Confucianism and analyzed that the problem of Joseon at the time was caused by the fact that Confucian scholars did not properly seek the teachings of saints, formed faction, and fought against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Li and Qi ( 理氣 ). Furthermore, he tried to embrace related debate by claiming that Mind and Human nature are a one thing ( 心性一物 ) and Li and Qi is combined ( 理氣合體 ). The medicine by Zhu Zhenheng ( 朱震亨 ) and Zhang Jiebin ( 張介賓 ) was the main stream in that Joseon Dynasty. Zhu emphasized the treatment of enriching yin and downbearing fire ( 滋陰降火 ), which stimulates yin energy and reduce fire in response to burning of genuine yin ( 眞陰 ) by ministerial fire ( 相火 ) from liver and kidneys. Zhang described the life gate ( 命門 ) as the Taiji ( 太極 ) of the human body and distinguished that the sovereign fire ( 君火 ) was kept in the heart and the ministerial fire was kept in the life gate. And he claimed to warm and tonify ( 溫補 ) the fire and genuine yin preserved in the life gate. But Lee criticized ministerial fire theory of fire formations held in the life gate and contended to enrich yang. As for the life gate ministerial fire, he tried be different from Zhang‘s medicine, saying that the life gate ( 命門 ) is pericardium ( 心包絡 ) and the ministerial fire is not a separate fire but the fire of heart runs in the water of the kidney. He obviously tried to correct the fallacy of existing medicine with the banner of Supporting Yang theory ( 扶陽論 ). Through this theory, he tried to separate the Taiji from the life gate, and concentrate the position and the functions of the life gate to the heart. If so, why did Lee, Kyujoon propose the Supporting Yang theory in chaotic state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deny the life gate ministerial fire, and emphasize the heart sovereign fire? Could it be the reflection of desire that the chaotic state of that time should be resolved by Confucian scholars who might not be regarded as the ministerial fire that makes stir frenetically and dries the essence of the whole body but the ministerial fire that faithfully follow orders of the monarch beside the monarch?

목차

1. 서론
2. 이규준 의학의 6가지 특징
3. 이규준과 장개빈의 의학 이론 비교
4. 이규준은 왜 부양론을 발표했을까?
5. 에필로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재근(OH, Chaekun). (2018).조선 말기에 등장한 새로운 전통 의학 이론.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1 , 39-73

MLA

오재근(OH, Chaekun). "조선 말기에 등장한 새로운 전통 의학 이론." 의료사회사연구 [ISSN : 2635-6333], 1.(2018): 39-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