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구조적 관계
이용수 243
-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 of Individual, Home, and School Environmental Variables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영(Hye-Young Park) 이신동(Shin-Dong Lee)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17권 제2호, 5~2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의 수준에 따른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살펴보고 구조적 관계 모형 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가정과 학교의 교육적 지도에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지역, 학년, 성별을 고려하여 대학부설 영재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영재학급에서 영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 학생 415명을 연구대상으로 개인특성검사, 가정환경검사, 학교환경검사와 자기조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의 수준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의 상위집단에 속한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이 하위집단에 속한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영재학생의 개인특성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환경과 학교환경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학교환경의 경우 개인특성을 매개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재학생의 개인특성, 가정환경, 학교환경과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고 영재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학교환경의 중요성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self-regulated learning of gifted students depending on their level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by establishing and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415 elementary students, in gifted programs from the fourth grade to the sixth grade,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study in consideration of their regions, grades, and gender.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sett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ed on theoretical and empirical fram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self-regulated
learning of the gifted depending on the level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Second, individual characteristic has the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don t have the direct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but school environment has the mediated effect on self-regulated learning through individual characteristic.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 hom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of the gifted on self-regulated learning were verifi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the integrated relation between variables were clarified. This study could have significance as the empirical test that investigates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environment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f gifted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 교수(Peer Tutoring)를 활용한 다학년 학급(Multi-grade Class) 수업모형 개발
- 교원교육 제41권 제1호 목차
- 초등학생의 시각적 소통능력 함양을 위한 PBL 기반 전시기획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