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증강현실에서의 상표권 침해

이용수 347

영문명
Trademark Right Infringement in Augmented Reality
발행기관
조선대학교 법학연구원
저자명
박인회(Park In Hoi)
간행물 정보
『법학논총』제25권 제2호, 101~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08.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증강현실이란 헤드셋이나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장비를 통해 디지털 이미지와 콘텐츠를 실제 세계에 겹쳐서 표시하는 것이다. 증강현실의 경우 실제 세계에 존재하는 객체에 새로운 디지털 객체들을 더하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현실을 보충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증강현실은 실제의 환경에 일정한 정도의 디지털 정보를 부가하는 것이기 때문에 해당 디지털 정보를 같은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다면 일정정도의 상호호환성을 갖게 된다. 현실에서의 특정 사물이나 위치정보 등을 통하여 증강현실 디스플레이에 특정 디지털 정보를 표시할 때 이 디지털 정보에 상표가 포함되어 나타난다면 이는 우리 상표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상표의 사용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현실에서는 해당 상표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증강현실에서만 해당 상표를 표시한다면 이는 상표가 취소되지 않기 위해서 요구되는 3년 이내에 국내에서의 상표의 사용에는 해당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증강현실에서 인식되는 특정 상표의 상품에 반응하여 경쟁사의 상품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행위는 다른 법적 요건의 판단 이전에 우선 해당 등록상표의 인식 이외의 어떠한 형태의 사용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점과 실제 세상에 비치는 화면은 전기통신회선을 통하여 제공되는 정보가 아니라는 점에서 현행 상표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상표의 사용으로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또한 타인의 등록상표나 등록상표가 포함되어 있는 광고를 지우거나 흐릿하게 처리하는 행위는 부정경쟁방지법에서 규율하고 있는 부정경쟁행위에 해당될 수 있는지 여부를 떠나 상표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상표의 사용 정의 규정에 비추어 판단할 때 타인의 등록상표 자체가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없어서 이 역시 상표의 사용이라고 보기 어렵다. 앞서 살펴본 두 가지 경우 모두 상표의 사용이 인정되지 않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등록상표의 상표권 침해를 인정하는 것 역시 어렵다고 판단할 수밖에 없다.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자가 저작권법상 온라인서비스제공자 면책규정의 적용을 받아서 상표권 침해책임으로부터 면제될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이 책임에서 면책되기 위해서는 면책규정에 해당하여야 하는데 이는 상표법상에는 면책규정이 없고 저작권법에 규정된 면책규정의 적용을 받으려면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자가 온라인서비스제공자의 일 유형에 해당하고, 그 유형에 요구되는 면책요건들을 모두 만족하여야 하는데, 이렇게 해석하기는 어렵다.

영문 초록

An augmented reality is the display of digital images and contents over the real world through electronic devices such as headsets and smartphones. In case of augmented reality, because it is made by adding new digital objects to objects existing in the real world, it functions to supplement reality. Because augmented reality adds a certain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to the actual environment, if the digita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in the same way, it will have some degree of interoperability. When a specific digital information is displayed on augmented reality display through a specific object or location information in reality, if the digital information includes a trademark, it can be regarded as the use of the trademark defined in the trademark law. However, in reality, if the trademark is displayed only in the augmented reality, not in the real world at all, it will be considered that the trademark has not used in the country within three years required to avoid the cancellation of the trademark. The act of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a competitor s product in response to a specific branded product recognized in the augmented reality is that there is no use other than recognition of the registered trademark before judgment of other legal requirements,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screen by using the trademark defined in the current trademark law because it is not the information provided through the telecommunication line. In addition, the act of erasing or blurring the advertisements containing registered trademarks or registered trademarks of others may be regarded as an unfair competition act regulated by the Unfair Competition Prevention Act,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use of the trademark is also possible because it can not be seen that the registered trademark itself of another person is used. In both cases, the use of the trademark is not acknowledged, and consequently it can not be concluded that it is difficult to recognize the trademark infringement of the registered trademark. In order to be exempted from this responsibility, whether or not an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r can be exempted from trademark infringement liability by applying the online service provider exemption reg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opyright Act, it must be excluded from the liability, In order to be covered by the exemption regulation, the augmented reality service provider must be a type of online service provider and satisfy all the immunity requirements required for that type of service. It is necessary to summarize the legal regulations so as to be able to compose various social phenomena including augmented reality, and to establish legal theories about them.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증강현실의 개념
Ⅲ. 상표의 사용문제
Ⅳ. 상표권의 침해
Ⅴ. 온라인서비스 제공자로서의 책임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인회(Park In Hoi). (2018).증강현실에서의 상표권 침해. 법학논총, 25 (2), 101-128

MLA

박인회(Park In Hoi). "증강현실에서의 상표권 침해." 법학논총, 25.2(2018): 101-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